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with 64 students. The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consisted of intrapartum and postpartum care. Results: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scores in maternity nursing car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ost-test (t=-5.92, p <.001, t=-7.35, p <.001) and enhance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Conclusion: The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was useful in improv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um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We recommend for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to increase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Purpose: This review study aimed to provide an update and overview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undertaking simulation based education and research for simulation based learning. Methods: This review includes papers and books in regarding to education and nursing education. This article was addressed general learning theories and simulation based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current learning theories. Results: Simulation-based learning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Current learning theories such a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nd situational learning theory are rooted in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These theories emphasize the reflection for effective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ritical refl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effective simulation based learning.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briefing learning using peer feedback after blood transfusion nursing simulation practice. Methods: This study is a mixed method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briefing using peer feedback on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rd-year nursing students, and 23 of them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and 19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for about three hours, and the debriefing using peer feedback was not perform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of the debriefing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with regard to blood transfusion nursing. The qualitative data about cognitive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debriefing were analyzed.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a t-test, a x² test, and a paired t-test by using IBM Statistics SPSS 19.0 softwar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nowled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ired t=-6.411, p<.001; paired t=-5.759, p<.001),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blood transfusion nursing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groups (paired t=-0.639, p=.530; paired t=-0.631, p=.536), and that the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paired t=-5.124, p<.001; paired t=-4.747, p<.001).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the cognitive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debriefing showed that the content was divided into four subjects: “My errors are clearly seen as I reflect on myself,” “I can understand how to say and perform,” “I could make the knowledge my own by reviewing what I have done,” and “I could have see the big picture of nursing skil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briefing using peer feedback after the simulation had the learning effects of repeated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of specific nursing skill, indicating that it is a useful education tool in nursing educatio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learning using a web-based e-book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9 third-year nursing students (34 in the experimental and 35 in the control group) from a C-university in G-city, Korea, who were engaged in one-week clinical practicum in a gastroenterology ward. The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20.0.
Results: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t=-3.61, p<.001), knowledge achievement(t=-2.92, p<.001),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8.78, p<.001) in the training course using Mosby's nursing skills.
Conclusion: These results identified that clinical practice learning using Mosby’s Nursing Skills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an e-Learning needs to be continu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Also, it is needed to research more for better ways to implement e-Learning on students’ practicu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test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orty-fou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s and problem solving process scales, clinical competency scal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ried-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critical thinking(t=5.958, p<.001), problem solving process(t=3.331, p=.002) and nursing clinical(t=2.226 p=.031).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contribut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of clinical based learning modules and determine the effect of simulation method, learning times, team size on learrning.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eam performance was related to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ositiveness in problem solving, and class satisfaction, after applying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 based learning.
Methods: Study objects were the students in C college who learn through simulation using team based learning for 4 weeks(March 2012 to June 2012).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positiveness in problem solving were developed by Kwon (2010). Class Satisfaction was developed by Kim (1998) and team performance was designed by professors. SPSS/WIN 21.0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Results: In this study, team performance score was related to interpersonal understanding (score=3.84, r=.620, p<.001), team efficacy(score=3.73, r=.510, p<.001), positiveness in problem solving(score=3.56, r=.468, p=.001), and class satisfaction(score=3.55, r=.448, p=.002),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eam efficacy,interpersonal understanding, positiveness in problem solving and class satisfaction to improve team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Purpose: Clin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is limited to obstetrical nursing to avoid potential risk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learning for obstetrical nursing. The study examines knowledge of obstetrical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nursing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discussing case studies and comparing to their own experience) and control group.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wenty nursing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o perform χ2-test and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knowledge,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 simulation-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for nursing student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about maternity core nursing practicum in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with 77 students. The simulation -based maternity core nursing practicum that consisted of two sessions each 2 hours long for intrapartum and postpartum care was provided to 6 small groups. Core items of knowledge about and self-confidence in maternity core nursing practicum were measured with 18 items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Results: The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scores in maternity nursing car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ost-test (t=-13.99, p<.001, t=-21.14, p<.001).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maternity core nursing practicum was useful in improving the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scores for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We recommend for maternity core nursing practicum to empower the competency of the students.
Purpos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rubric which developed for investigation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ement competency on hypoglycemia simulation practice.
Methods: The study was a methodological study with 59 nursing students from Y University participating. Fifty video files were used to analyze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competency. Rubric was consisted with 11 questions having 4 phases (beginning, developing, accomplished, and exemplary) and composed with 4 sub-categories (noticing, interpreting, responding and evaluation/reflecting).
Results: The value of inter-rater reliability was r=.92 (p<.001) and Kendall tau b=.79 (p<.001). The value of intra-rater reliability was r=.92 (p<.001) and r=.99 (p<.001). Cronbach's α was .93 a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by factor analysis, 3 factors were extracted and it explained 80.9% of the variance in clinical judgment competency. The value of competency of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was 2.47 (±.42).
Conclusion: The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rubric can be used for assessing clinical judgment competency on simulation practice. Also, it can be applied for evaluation a clinical judgment as a nursing program outcome of nursing students.
본 논문의 출발은 남북전쟁 기간 휘트먼의 병원 체험이 시인 자신은 물론 분열된 미국을 치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조명하는데 있다. “남과 북은 가장 중요한 하나의 거대한 병원이었다”(North and South was one vast central hospital)라는 휘트먼의 언급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 전쟁의 진실을 가장 잘 드러내는 병원 풍경은 시인의 상상력의 정수로 자리 잡고 있었다. 무엇보다 휘트먼의 병원 체험은 그의 삶을 통해 “가장 중요한 교훈”이 되었다. 여러 병원에서 자원 간호사로 활동했던 그의 경험은 『북소리』(Drum-Taps), 『전쟁 기간의 비망록』(Memoranda During the War) 등에 수록된 많은 시와 산문을 통해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 작품을 통해 휘트먼은 여성적이며 동시에 모성적인 속성과 긴밀히 연관된 시인-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상처를 치료하는 자」(“The Wound-Dresser”)라는 시는 그 대표적 예이다. 시인은 부상병들을 치유하는 “어루만지는 자석 같은 손길”(magnetic touch of hands)을 지닌 중년의 여성 간호사야말로 군병원에 가장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그 만의 독특한 시선을 통해 역설한다. 고통으로 신음하는 부상병들로 가득한 병원의 풍경은 휘트먼에게 일평생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휘트먼은 “단순한 병원 스케치를 뛰어 넘는 어떤 것”을 담아낸 작품을 씀으로써 우리에게 전쟁의 진실을 왜곡 없이 전하고자 했다. 이는 “간호는 내게 종교였다”라는 그의 언급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중요한 점은 고통스러운 병원 체험을 집약하고 있는 ‘경련’(convulsiveness)이란 단어는 그의 심리적 상처, 곧 트라우마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시인은 ‘경련’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이야 말로 반복되는 고통의 기억과 꿈으로부터 개인적이고 동시에 집단적인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해 “언어적 이야기의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외상 기억과 외상성 꿈은 대개 “생생한 감각과 이미지”의 형상으로 재현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휘트먼의 「오래 전의 전쟁—꿈」(“Old War-Dreams”), 「포병의 환상」(“The Artilleryman’s Vision”), 『표본이 되는 날들』(Specimen Days)의 여러 전쟁 섹션 등의 시와 산문은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이렇듯 ‘경련’에 대한 글쓰기는 궁극적으로 시인에게 내재한 종교적 의미를 일깨움으로써 “진정한 앙상블과 미국의 규모에 대한 그의 가장 열렬한 시각”을 낳게 했다.
연구목적은 방문재활 물리치료 도입을 위한 정책적 자료를 제시하여 방문재활 물리치료의 제도적 도입과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방문물리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국 의료기관 51곳의 조사 자료와 가정간호 수가체계를 토대로 뇌혈관환자의 방문재활 물리치료의 비용-편익 분석을 직접비용 조사와 지불용의 접근법으로 1회 건당 물리치료의 순편익과 비용-편익 비를 산출한 후, 민감도분석을 통해 연간 사회적 순편익을 계산하여 경제적 이익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뇌혈관환자의 방문재활 물리치료 비용-편익 분석의 직접비용 조사에서 방문재활 물리치료 방식이 의료기관 내원방식보다 2.04배 경제적 이익이 높았고, 사회적 순편익은 19,255,406천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불용의접근법에서 1.84배 경제적 이익이 높았고, 사회적 순편익은 15,546,120천원으로 분석되어 의료기관 내원방식보다는 방문재활 물리치료방식이 더 저렴하며 경제적 이익으로 사업성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가 있었다. 병원을 내원하여 물리치료를 받는 것보다 방문재활 물리치료의 도입으로 가정에서 물리치료를 받는 것이 경제적인 이익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의료서비스산업은 인구 고령화, 소득 증대,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등으로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이다. 의료서비스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병원으로, 병원은 의사, 의료기사, 간호사, 행정직 등 전문적이고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들의 협동작업을 통해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다. 간호사는 많은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전문 인력 중에서 병원인력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환자에게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인 치료와 간호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병원인력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간호사의 잦은 이직과 낮은 생산성은 환자의 치료와 간호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 소진과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사의 이직과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연구하여, 간호사 개인 맞춤별 내부마케팅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첫째, 소진에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 근무형태, 직위, 간호사 경력, 근무처, 병상 수로 나타났으며,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학력, 결혼, 근무형태, 간호사 경력, 근무처, 병상 수로 나타났다.
목적 : 본 연구는 환자중심의 목표지향적 접근을 강조하는 ICF 기반의 Swiss Paraplegic Group (SPG) 케이스 관리틀을 국내 척수손상환자에게 적용하여, 환자 개인의 욕구를 반영한 목표설정 과정의 제시 및 조직화된 재활시스템 안에서의 ICF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도구로 Rehab-Cycle과 ICF tools을 통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문제점 도출부터 결과의 측정까지 환자를 참여시켜 재활과정 전반에 환자의 능동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병원에 입원중인 만 62세 남성으로 교통사고로 인해 경수 4번, 5번 손상(ASIA D)을 진단받았다. 환자는 재활의 과정에 참여하여 스스로 사회적 참여와 직장으로의 복귀를 전체 목표로 선정하였으며, 서비스 프로그램목표로 독립적인 생활이 수립되었다. 이에 기초해 이동성 개선, 자조관리, 기억력 증진과 컴퓨터 활용이 하위의세 가지 주기 목표로 설정되었다. 결과 : 환자의 목표에 기반하여 재활의학과 의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의 재활팀이 구성되어 치료가 시행되었다. 환자 스스로 정한 개입목표에 따른 달성 여부를 보면, 자기관리 항목에서는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고,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자가 배변과 자가 배뇨가 가능해졌다. 또한 보행에 있어서 환자스스로는 목표 가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판단하였으나 워커를 이용한 보행이 가능해졌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적용한 ICF 기반 SPG Form의 경우 환자 스스로 정한 욕구와 맥락을 통해 치료 목표가 결정되고 개입의 요소가 설정되며 환자와 치료전후의 예후를 객관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추후에는 ICF 기반 SPG 케이스 관리 틀을 다양한 질환군과 연령층 환자에게 적용하여 환자 개인의 욕구를 반영한 목표설정과정을 제시하고 조직화된 재활시스템 안에서 ICF를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일반병원 간호사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정시설 간호사의 감정노동정도는 빈도와 부조화경험에서 일반병원 간호사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는 일반병원 간호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정시설 간호사의 경우 재직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정표현의 주의정도가 낮아졌고, 연령이 들수록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졌다. 재직기간에 따라 승진과 임금/후생의 만족도는 U자형의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일반병원 간호사의 경우 성별에 따라 여성의 임금/후 생만족도가 높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직무자체, 임금/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정시설 간호사 뿐만 아니라 일반병원 간호사 모두 감정노동의 정도가 강할수록 직무만족에는 부(-)적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목적 : S-PBL학습방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육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교육양상을 살펴보고, 교과목 운영에 있어서 통합교과목과 교과목 부분통합으로 운영하는 학과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S-PBL학습방법의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연구 방법 : PBL학습을 기초로 S-PBL학습방법을 경험한 간호·보건계열 학생 96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작업치료과는 2년간 적용한 학년과 학기별 비교와 교과목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과간의 비교분석으로 학생들의 교육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 첫째, 작업치료과 학생들은 1학기보다 2학기에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가 높았으며, 1학년보다 3학년이 모든 항목에서 높았다. 특히, 그룹활동 능력은 모든 학년에서 높았다. 둘째, S-PBL학습방법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 그룹활동능력, 의사소통능력, 현장실무능력에 매우 유익한 학습방법임을 분석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셋째, 부분통합 교과목 보다는 통합교과목으로 적용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 능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교육환경과 운영방법에 대한 학습 만족도 역시 높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S-PBL학습방법은 통합교과목으로 운영되고, 매학기 학 년마다 적용한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가 높다. 그러므로 작업치료학과에서 학생들의 통합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실무능력들을 학교교육에서 갖추고자 한다면, 통합된 교과목으로 S-PBL학습방법을 매 학기와 학년마다 확대 적용할 필요성이있음을 시사해주었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보건 서비스 실태와 제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정신보건법은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95년 제정되었다. 이후 3차례의 개정을 거쳐 최근 정신질환자의 인권보호강화 및 작업요법에 대한 근거 신설(제46조의 2) 등을 주요내용으로 일부 개정되어‘작업요법’이 재활서비스의 중요한 부분으로 명기 되었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가 2008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국∙공립병원 3개소와 민간병원 4개소를 대상으로 정신보건시설 방문조사 결과 작업치료부재 또는 종류 부족, 작업 치료 계획과 평가, 작업치료일지 작성 미흡, 작업치료의 명목의 화장실∙병동 간호사실 청소 및 중증환자 간병 등의 인권 침해사례가 보고 된 바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은 부적합한 용어(작업요법)의 사용으로 상위법(정신보건법)과 하위법(시행규칙) 간의 모순을 초래하여 작업치료서비스가 작업치료사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정신보건법 개정 기본 취지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양질의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보장하여 정신보건시설 내의 작업치료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즉 정신보건법에 작업치료의 정의와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를 명시하고 작업치료사가 정신과 필수인력으로서 종사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적으로 이러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 질 때 그에 따른 정신과 작업치료사의 전문성 확립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