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107-132
시각 매체를 통한 감각의 확장: 조셉 코넬의 1930-1940년대 상자 구조물과 필름 콜라주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77-105
회화 문화유산 복원을 위한 AI 활용 방안: 고지도 및 어진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63-75
미국 문화기관의 디지털 거버넌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유니버설’ 뮤지엄 전 략과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45-61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술사와 문화유산의 재발견: 우피치의 영토들과 제도적 전략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27-43
그리스 고고·미술사 연구에서 디지털 전환과 AI 활용 사례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1-25
2000년대 미술이론과 현장: 한국미술이론학회 20년의 학술적 실천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69-190
비엔날레의 글로벌 담론과 로컬 정체성 횡단하기: 제3회 제주비엔날레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45-168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아카이브 기반 실천의 세 가지 유형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25-144
글로벌 시간의 탈공간화: 이완의 작업을 통한 네크워크 소비사회 분석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07-124
화면을 마주함에 있어 태도가 형식이 될 때: 백남준의 <필름을 위한 선>과 <TV 부처> 기록사진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83-105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65-82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45-64
AI 시스템의 비판적 지형도: 케이트 크로포드와 블라단 욜러의 인공지능 담론과 시각화 프로젝트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21-43
빅토리안 벽화의 태동: 1843년 웨스트민스터 궁 카툰 경연대회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20
남아프리카공화국 동시대 미술에서 슈퍼히어로의 탈동일시적 차용: 브리짓 베이커와 메리 시반데의 작업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167-199
촉지적 풍경 영화: 마이클 스노우의 <중심지대>(1971)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141-165
이상남 초기작(1989-1993)의 기계적 표현 및 기하학적 특성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111-140
리하르트 헤르츠의 한국체류기간 (1956-1960) 미술평론과 예술후원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83-109
개인의 역사를 재인식하는 수단으로서 아카이브의 가능성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5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