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안 벽화의 태동: 1843년 웨스트민스터 궁 카툰 경연대회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20
AI 시스템의 비판적 지형도: 케이트 크로포드와 블라단 욜러의 인공지능 담론과 시각화 프로젝트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21-43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45-64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65-82
화면을 마주함에 있어 태도가 형식이 될 때: 백남준의 <필름을 위한 선>과 <TV 부처> 기록사진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83-105
글로벌 시간의 탈공간화: 이완의 작업을 통한 네크워크 소비사회 분석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07-124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아카이브 기반 실천의 세 가지 유형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25-144
비엔날레의 글로벌 담론과 로컬 정체성 횡단하기: 제3회 제주비엔날레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45-168
2000년대 미술이론과 현장: 한국미술이론학회 20년의 학술적 실천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69-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