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 문화유산 복원을 위한 AI 활용 방안: 고지도 및 어진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63-75
미국 문화기관의 디지털 거버넌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유니버설’ 뮤지엄 전 략과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45-61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술사와 문화유산의 재발견: 우피치의 영토들과 제도적 전략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27-43
문화유산학이란 무엇인가?: 문화유산학의 지형도 및 발전 분석
미술이론과 현장 제30호 (2020.12) pp.70-98
크노소스와 에번스: 문화유산의 보존과 운용에 대한 문제들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5-36
미술관이 된 구舊벨기에영사관 - 서울시립미술관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사례 연구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49-53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의 새로운 접근 - 혜곡최순우기념관과 권진규 아틀리에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43-48
문화유산학(Heritage Studies)의 탄생: ‘과정(process)’로서의 유산과 유산의 해석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27-31
20 셰기 튀니지에서의 문화유산 보호 및 활용 정책: 여행과 관광 산업적 요인의 역할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13-16
문화 접근성 향상을 통한 뮤지엄 공공성 강화 전략 : 파리 시립 뮤지엄 그룹 (Paris-musée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미술이론학회 춘계 콜로키엄 (2019.04) pp.11-13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미술이론학회 춘계 콜로키엄 (2019.04) pp.7-9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105-134
문화예술 공동체 할아텍의 사례를 통해서 본 예술의 공공성 - 《목포 그리기》와 《철암 그리기》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프로시딩 (2017.10) pp.29-32
코스모폴리스의 이방인: 헬레니즘시대 알렉산드리아의 소조각상에 드러난 문화정체성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1호 (2016.06) pp.4-27
18세기 '중국풍 정원(Anglo-Chinese garden)'의 문화전이에 관하여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201-224
산업사회, 대중문화, 도시에 대한 '현실과 발언'의 양가적 태도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41-69
'주택고급화를 위한 예술’ : 하위문화 예술공동체를 시의 경제적, 도시적 활성화의 수단으로 이용하기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159-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