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와 예술사이 : 컴퓨터비전, 인공지능 그리고 이미지의 문제
미술이론과 현장 제32호 (2021.12) pp.89-125
사물의 인상학: 19세기 신경과학에서 타자 얼굴 의 이미지와 기계의 표현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학술대회 (2016.10) pp.25-28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225-256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139-174
전쟁의 기억 : 전재에서 자연재해로 - 6.25전쟁기 회화 작품에 나타난 피난 이미지
미술이론과 현장 제13호 (2012.06) pp.7-33
이미지와 텍스트의 해체적 실행으로서의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 80년대까지의 싱글채널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2호 (2011.12) pp.35-60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리좀(Rhizome)적 작품체계: 디지털 이미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33-57
1980년대 한국사회와 민중미술- 대중소비사회의 시각이미지와 비판적 리얼리즘의 재고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7-32
중국 문혁기 모범극(樣板戱)의 시각이미지 - <紅燈記>의 혁명영웅상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5호 (2007.12) pp.197-215
1930년대 상해의 모던[摩登] 여성 이미지 — 시각화된 복제미술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0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