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미술이론과 현장: 한국미술이론학회 20년의 학술적 실천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69-190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아카이브 기반 실천의 세 가지 유형
미술이론과 현장 제38호 (2024.12) pp.125-144
2000년대 한국 현대미술에서 역사의 귀환: 임흥순, 제인 진 카이젠, 송상희
미술이론과 현장 제36호 (2023.12) pp.137-174
1970년대 중반 한국화단의 평면 양상: 반복 행위가 표상된 드로잉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33호 (2022.06) pp.113-139
1960년대 한국미술비평에서의 ‘전위’, 저항과 참여의 간극
미술이론과 현장 제31호 (2021.06) pp.57-82
한국전쟁의 기억과 매향리: 사회참여미술로 본 매향리의 상징성
미술이론과 현장 제30호 (2020.12) pp.223-252
한국 현대미술계의 지형 변화와 세대전환: 1990년대 작가 이불의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135-164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서 본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79-103
1960년대-1970년대 한국의 퍼포먼스와 미술가의 몸
미술이론과 현장 제22호 (2016.12) pp.86-119
1980년대 한국미술에서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1988《세계현대미술제》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9호 (2015.06) pp.153-185
1960-70년대 뉴욕의 한국작가: 이주, 망명, 디아스포라의 미술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107-137
20세기 한국미술사 연구를 위한 소고: 1960-70년대 미술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7-40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35-60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45-180
광복 후부터1950년대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외국인이 본 한국미술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23-144
추상, 그 미학적 담론의 초기 현상 - 1930년대 한국의 경우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135-154
미술이론과 현장 제1호 (2003.12) pp.6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