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Light in the Shadows: Touch, Time and Movement in Real and Digital Space
Mossman Anna
미술이론과 현장 제36호 (2023.12) pp.107-121
루바이나 히미드의 영국 흑인 예술 운동과 흑인 페미니즘 비평
주하영
미술이론과 현장 제32호 (2021.12) pp.5-36
한국여성작가의 독립영상작품에 표현된 여성노동자의 이미지분석 : 여성주의 문화운동 관련 1990년 대-200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서희정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225-259
단색화의 담론기반에 대해 비평적으로 묻고 답하기: 독자적 유파, 한국적 미, ‘Dansaekhwa’ 표기를 중심으로
심상용
미술이론과 현장 제21호 (2016.06) pp.58-81
“The Changing Concept of Proportions”: Architecture, Mathematic and Geometry from Architectural Principles in the Age of Humanism to the Techno-Organic Movement
Francesca Mattei
미술이론과 현장 제18호 (2014.12) pp.124-144
人形座と大正期新興美術運動
潼澤恭司
미술이론과 현장 제5호 (2007.12) pp.156-174
닌교자(人形座)와 다이쇼 시기(1920년대) 신흥미술운동
다키자와 교지
미술이론과 현장 제5호 (2007.12) pp.135-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