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를 활용한 중국어 변형 구조 문장의 생성 연구
외국어교육 제32권 제2호 (2025.06) pp.113-139
집단별 중국어 어휘량 및 난이도 비교 분석: 중국어전공, 교양중국어, 비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교육 제32권 제2호 (2025.06) pp.97-112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 한국어 /ㄴ/ 종성 환경에서의 연음 동일 자음 첨가
외국어교육 제31권 제4호 (2024.12) pp.133-154
청자반응 방식이 말하기 유창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교육 제30권 제2호 (2023.06) pp.103-124
외국어교육 제29권 제3호 (2022.09) pp.131-161
중국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나의 붉은 고래] 속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8권 제4호 (2021.12) pp.201-225
韓中美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어린이용 중국어교육 어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연구
외국어교육 제28권 제2호 (2021.06) pp.107-141
외국어교육 제27권 제4호 (2020.12) pp.145-181
외국어교육 제26권 제4호 (2019.12) pp.67-88
조선족 이중언어 사용자들의 한국어 어말어미 ‘-고’의 처리에 대한 차폐 점화 연구
외국어교육 제26권 제2호 (2019.06) pp.213-230
중국어 학습동기 변화에 관한 일기연구: 행위이론 관점에서
외국어교육 제26권 제2호 (2019.06) pp.143-168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사 내포문 습득 연구: 동사 ‘듣다’, ‘궁금하다’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227-245
초급중국어회화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식 교수법에 관한 사례연구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159-179
‘중국인 유학생’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4권 제3호 (2017.09) pp.195-216
한·중 대량(大量) 표현 ‘많다/많이’와 ‘多’의 대응 연구
외국어교육 제24권 제2호 (2017.06) pp.195-219
외국어교육 제24권 제1호 (2017.03) pp.131-158
의성·의태어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정호승의 『항아리』에 등장한 표현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3권 제4호 (2016.12) pp.269-286
한국 초등학교의 중국어 교육 현황 조사 연구: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3권 제2호 (2016.06) pp.249-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