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체스코 보로미니의 산 티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 상징과 의미체계
미술이론과 현장 제21호 (2016.06) pp.104-131
와스프(WASP) 계층의 타자화 전략과 지배 이데올로기를 통해 본 아메리칸 르네상스 벽화
미술이론과 현장 제21호 (2016.06) pp.28-57
코스모폴리스의 이방인: 헬레니즘시대 알렉산드리아의 소조각상에 드러난 문화정체성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1호 (2016.06) pp.4-27
메콩삼각주의 화가들:베트남 근대미술과 전쟁기 민족해방전선 게릴라 화가들의 활동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271-303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241-269
고야(Francisco de Goya)의 ≪검은 회화들≫ 속의 노년의 고야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190-240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170-186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148-167
비디오 게임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담론 사례 연구: 와파 빌랄의 전술적 매체 작업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120-145
기술 매체와 신체의 인터페이스를 강조하는 미디어 아트의 해석에 대한 고찰: 현상학적 체현인지 관점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94-118
관계적 스크린과 관객성 연구: 비디오 프로젝션에서 프로젝션 기반 뉴 미디어 아트로의 전이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62-91
근대 초 해부학의 발전과 시각적 사유: 미술과 의학의 학제 간 상호연관성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34-60
미술이론과 현장 제20호 (2015.12) pp.8-31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술+과학+테크놀로지 (2015.10) pp.55-64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술+과학+테크놀로지 (2015.10) pp.46-54
현상학적 체현인지 관점에서 미디어아트의 해석에 대한 고찰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술+과학+테크놀로지 (2015.10) pp.36-45
바이오 아트의 딜레마: 유전자 결정론과 예술적 미결정성 사이에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술+과학+테크놀로지 (2015.10) pp.29-35
관계적 스크린과 관객성 연구 - 비디오 프로젝션에서 프로젝션 기반 뉴 미디어 아트로의 전이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술+과학+테크놀로지 (2015.10) pp.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