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중국풍 정원(Anglo-Chinese garden)'의 문화전이에 관하여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201-224
18세기 고고학적 풍경화에 대한 연구: 파니니의 카프리초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175-199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139-174
1960-70년대 뉴욕의 한국작가: 이주, 망명, 디아스포라의 미술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107-137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71-103
산업사회, 대중문화, 도시에 대한 '현실과 발언'의 양가적 태도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41-69
20세기 한국미술사 연구를 위한 소고: 1960-70년대 미술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6호 (2013.12) pp.7-40
미로 속의 초현실주의: 1942년《초현실주의의 1차서류》전시와 마르셀 뒤샹의<1마일의 끈>에 관한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167-198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137-165
재현의 딜레마: 포스트페미니즘세대 중동출신 여성작가들의 젠더 이분법 차용방식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111-135
상호작용적 작품에서 놀이속성: 모리스 베나윤(Maurice Benayoun)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83-109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51-79
쓰레기도 예술이 되나요?: 데이비드 해몬즈의 '홈리스' 아트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31-49
로버트 스미슨의 "개간 프로젝트"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세계관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06) pp.7-30
Remembering Disasters : the Resilience Approach
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217-245
포스트-미디엄과 포스트프로덕션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
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187-215
줄리오 로마노의 만토바 저택 : 메르쿠리우스로 표현된 화가의식
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159-186
공동체 형성에 있어서 뉴미디어아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
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87-124
재난과 미술적 대응 : 헤르만 조셉 하크(Hermann Josef Hack)의 기후난민 프로젝트
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5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