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33-51
과거와의 대면 : 《미르티스》 전시를 통해 기억된 아테네 대 역병
미술이론과 현장 제14호 (2012.12) pp.7-32
배설과 전복: 권위와 가치에 대한 도전으로 보는 현대미술에서의 배설
미술이론과 현장 제13호 (2012.06) pp.133-156
고야의 『카프리초스(Los Caprichos)』에 표현된 자웅동체적 선과 악
미술이론과 현장 제13호 (2012.06) pp.97-132
재앙적 예술과 그 도구화된 선별체계: 헌터 조너킨과 댄 퍼잡스키의 작품으로부터
미술이론과 현장 제13호 (2012.06) pp.73-95
미술이론과 현장 제13호 (2012.06) pp.35-71
전쟁의 기억 : 전재에서 자연재해로 - 6.25전쟁기 회화 작품에 나타난 피난 이미지
미술이론과 현장 제13호 (2012.06) pp.7-33
미술이론과 현장 제12호 (2011.12) pp.91-121
미술이론과 현장 제12호 (2011.12) pp.61-89
이미지와 텍스트의 해체적 실행으로서의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 80년대까지의 싱글채널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2호 (2011.12) pp.35-60
윌리엄 블레이크의 채색시집 『순수와 경험의 노래』에 나타난 상호매체성과 상호텍스트성
미술이론과 현장 제12호 (2011.12) pp.7-33
구스타프 쿠르베의 모순 : <화가의 작업실>(1855)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121-142
현대미술에 투영된 아카이브의 아포리아(aporia) : 게하르트 리히터의 <아틀라스>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101-120
1960년대 한국 실존주의와 현대조각 : 오종욱(吳宗旭) 조각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85-100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65-83
글로벌 페미니즘과 한국의 여성작가 : 최근 전시를 통해서 본 여성미술계의 지형변화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4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