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23-42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06) pp.7-22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183-202
'주택고급화를 위한 예술’ : 하위문화 예술공동체를 시의 경제적, 도시적 활성화의 수단으로 이용하기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159-182
에네르기-파사젠: 인터랙티브 사고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133-158
2010 한국 미술이론학회 국제학술대회 : 길 위의 예술 - 종합토론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119-131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105-118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85-104
(거리의) 창부들: 흑인격리정책 폐지 후 도시의 환영적 기념물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63-84
도시미화와 예술: '길 위의 예술'에 대한 비판적 소고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47-62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25-46
길 위에서: 마리오 라디체와 체자레 카타네오의 카멀라타 분수 1935-2010
미술이론과 현장 제10호 (2010.12) pp.7-24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195-215
페르낭 크노프(Fernand Khnopff)의 작품에 나타난 벨기에 상징주의와 내셔널리즘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171-193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151-170
The Early Light and Space Environments of Robert Irwin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138-150
빛과 공간 환경을 다룬 로버트 어윈의 초기 작업에 관한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123-137
유영국(劉永國)의 초기 구성주의: <랩소디>(1937)에 나타난 유토피아니즘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93-121
근대일본의 '바우하우스 사진' 수용과 국가 선전: 야마와키 아와오의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하여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59-91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리좀(Rhizome)적 작품체계: 디지털 이미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3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