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카노 벽화운동 제 2기(1975-1989): 자생적 공동체 벽화에서 공공미술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9호 (2010.06) pp.7-31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159-179
공공기념공간의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복합적 소통구조 제안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141-157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119-139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87-116
미술의 공공성과 키스 해링(Keith Haring)의 사회적 개입에 관한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59-86
샤르댕의 아동 교육 장르화- 18세기 프랑스 부르주아의 계몽주의적 아동관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33-57
근대 디자인 개념과 양식의 수용 - 동경미술학교 도안과 유학생 임숙재(任璹宰)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8호 (2009.12) pp.7-31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157-180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국민과 예술'의 문제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138-155
К проблеме «народ и искусство». Опыт соцреализма в СССР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119-137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102-118
Figuring the Social Condition: The Role of Allegory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83-101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70-81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61-69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35-60
1980년대 한국사회와 민중미술- 대중소비사회의 시각이미지와 비판적 리얼리즘의 재고
미술이론과 현장 제7호 (2009.06) pp.7-32
플럭서스의 탈시각중심주의— 촉각, 후각, 미각을 위한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6호 (2008.12) pp.147-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