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wo aspects of a nationalistic art in Greece, 1950~1960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219-239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203-218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90-202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81-189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45-180
광복 후부터1950년대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외국인이 본 한국미술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23-144
1930년대 상해의 모던[摩登] 여성 이미지 — 시각화된 복제미술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105-121
1949년~1966년 시기 중국 선전화 연구 — 유화와 포스터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77-104
일제강점기 ‘전위미술론’ 의 전통관 연구 — ‘문장(文章)’그룹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57-76
미국문화, 그 기로에 서서 — NEA(국립예술진흥기금)를 둘러싼 논쟁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33-56
미술이론과 현장 제4호 (2006.12) pp.7-32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173-193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155-172
추상, 그 미학적 담론의 초기 현상 - 1930년대 한국의 경우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135-154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반까지 일본의 추상예술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117-134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109-116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85-106
'연구 업무 전담제'를 통해 살펴보는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기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67-84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51-66
미술이론과 현장 제3호 (2005.12) pp.3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