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레이토리얼의 재귀’ - 큐레이팅을 잠시 멈추고 그것이 무엇인가 생각하기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 콜로퀴엄 2020 (2020.09) pp.1-4
Mirroring the Other: Viewing Noguchi Through Brancusi
미술이론과 현장 제29호 (2020.06) pp.113-139
미술이론과 현장 제29호 (2020.06) pp.81-111
매너리즘 회화에 나타난 패러디 고찰: 브론치노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9호 (2020.06) pp.55-79
그리스 전장에서 승전조형물 (트로파이온)의 전술적 의미 연구: 기원전 5세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9호 (2020.06) pp.31-53
관객 참여를 기반에 둔 큐레토리얼 실천: 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9호 (2020.06) pp.5-29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165-195
한국 현대미술계의 지형 변화와 세대전환: 1990년대 작가 이불의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135-164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117-133
‘누벨 에콜 드 파리’와 1950-1960년대 이성자의 미술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85-115
‘과정(process)’으로서의 유산과 그 유산의 해석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61-84
영국 고고 유적의 현대적 복원 및 활용 사례: 런던 미트라 신전 유적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37-59
크노소스와 에번스: 문화유산의 보존과 운용에 대한 문제들
미술이론과 현장 제28호 (2019.12) pp.5-36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66-70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54-65
미술관이 된 구舊벨기에영사관 - 서울시립미술관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사례 연구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49-53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의 새로운 접근 - 혜곡최순우기념관과 권진규 아틀리에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43-48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38-42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32-37
문화유산학(Heritage Studies)의 탄생: ‘과정(process)’로서의 유산과 유산의 해석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한국 미술 이론 학회 추계 학술 심포지엄 (2019.09) pp.2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