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163-192
잉카 쇼니바레의 《머리 없는 형상》에 나타난 식민권력의 전복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135-161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105-134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77-104
프랑스 왕립 미술아카데미에서의 루벤스 다시 쓰기: 로제 드 필과 색채 논쟁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53-76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31-51
고전기 아티카 도기화에 나타난 아르카익 양식의 시각적 역사성: 신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6호 (2018.12) pp.5-29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루벤스 다시 쓰기: 로제 드 필과 2 차 색채 논쟁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2018.10) pp.27-30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의 수용사: 비트루비우스 브리타니쿠스 (Vitruvius Britannicus)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2018.10) pp.21-25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2018.10) pp.17-19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2018.10) pp.11-16
고전기미술에서 아르카익 양식. 고전기 도기화 속 아르카익 신상 의 도상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2018.10) pp.5-10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2018.10) pp.1-3
알란 세쿨라의 바다, 세계화, 노동 : 보이지 않게 된 것들의 재가시화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197-223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165-195
피터 브뢰헐의 <이카로스의 추락이 있는 풍경> 에 나타난 노동과 ‘행동적 삶(Vita Activa)’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139-163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105-138
아서 웨슬리 다우의 탈고전주의 미술 교육이 미국 아트 포터리와 여성 도예가 등장에 미친 영향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75-103
프란체스코 아예즈의 작품 세계에 드러난 19세기 낭만주의와 네오르네상스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5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