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 스티버트 박물관의 전시와 컬렉터의 정체성: <성 게오르기우스>의 재탄생과 고전의 의미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29-51
헨드릭 테르브루헨의 <의심하는 토마스>: 카라바조 수용과 그림 감상
미술이론과 현장 제25호 (2018.06) pp.5-27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기초한 아서 웨슬리 다우의 미국교육방식이 미국 미 술도자 발전에 미친 영향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춘계 콜로퀴엄 (2018.04) pp.23-30
19세기 이탈리아의 네오리나쉬멘토: 프란체스코 아예즈의 회화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춘계 콜로퀴엄 (2018.04) pp.17-21
피렌체 스티버트 박물관: <성 조지와 용>의 재탄생과 고전의 의미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춘계 콜로퀴엄 (2018.04) pp.11-15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춘계 콜로퀴엄 (2018.04) pp.5-9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춘계 콜로퀴엄 (2018.04) pp.1-4
락스 미디어 컬렉티브의 <오퍼스>에 나타난 디지털 공유지 연구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216-242
1953-1967년 로버트 라이먼 작품을 통해 본 회화의 실천적 의미: 수평적 붓질의 물질성과 반복성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189-215
이응노의 초기 추상(1959-1964): “용구의 혁명”과 “구성”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163-188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127-162
우리는 왜 노래하지 않는가?: 타이페이 비엔날레 20년(1996-2016)간의 전시기획 메커니즘에 대한 평가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104-126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서 본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79-103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52-78
지역, 공동체, 세계 《제4회 광주비엔날레 초청 국제 워크숍–공동체와 미술》을 통해 바라본 예술가의 인식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27-52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p.4-26
미술이론과 현장 제24호 (2017.12) p.1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프로시딩 (2017.10) pp.37-39
2017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현장프로젝트 <식량도시> 기획에 관하여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프로시딩 (2017.10) pp.33-36
문화예술 공동체 할아텍의 사례를 통해서 본 예술의 공공성 - 《목포 그리기》와 《철암 그리기》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미술이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한국미술이론학회 추계콜로퀴엄 프로시딩 (2017.10) pp.2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