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 코퍼스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강조 부사 very의 패턴 비교
외국어교육 제26권 제1호 (2019.03) pp.159-182
다중지능 기반 이야기 활용 영어 수업이 초등 학습부진학생의 읽기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외국어교육 제26권 제1호 (2019.03) pp.129-158
L2 에세이 쓰기 과정에 나타난 쓰기 계획의 성격: 브레인스토밍과 아웃라인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6권 제1호 (2019.03) pp.109-128
전문계 대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전략 유형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외국어교육 제26권 제1호 (2019.03) pp.91-107
외국어교육 제26권 제1호 (2019.03) pp.41-65
외국어교육 제26권 제1호 (2019.03) pp.25-3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사 내포문 습득 연구: 동사 ‘듣다’, ‘궁금하다’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227-245
인도네시아어-한국어 이중어 사전 오류 분석: ‘인도네시아어-한국어 큰 사전’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209-225
충남외국어고등학교 베트남어 수업에서 문화콘텐츠 활용에 대한 수요 조사와 활용 방안 연구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181-208
초급중국어회화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식 교수법에 관한 사례연구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159-179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외국어 교과의 ‘성격’과 ‘목표’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133-157
인지적 과업 복잡성 조작이 고등학생들의 이야기체 및 설득체 영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107-131
외국어교육 제25권 제4호 (2018.12) pp.53-80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의 고빈도 헤지 표현 연구
외국어교육 제25권 제3호 (2018.09) pp.225-246
해외 독일학과의 학제 운영 사례 및 한국에서의 활용 방안 모색
외국어교육 제25권 제3호 (2018.09) pp.203-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