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지역의 대표적인 상록활엽수림인 붉가시나무림, 낙엽성 참나무류림인 상수리나무림, 인공림인 약 30년생 리기다소나무림 등 3개 유형 임상의 구조 및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별로 10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산림개황, 중요치, 종다양성, 직경분포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교목층 밀도는 각각 2,250본/ha, 760본/ha, 1,560본/ha이었으며, 평균흉고직경은 각각 12.1cm, 14.3cm, 14.1cm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 흉고단면적의 합은 붉가시나무림이 37.1m2/ha, 상수리나무림이 19.0m2/ha, 리기다소나무림이 29.2m2/ha이었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동백나무는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모두 제1의 우점종이었다. 임분 전체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림이 0.814, 상수리나무림이 0.956, 리기다소나무림이 0.866이었다. 붉가시나무림의 임분 전체 종다양도가 비교적 낮은 것은 출현종수는 비슷하였으나 균재도가 낮기 때문이었다. 붉가시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수리나무림은 동백나무 우점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리기다소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Structure and dynamics for three type forest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ere studied in Wando island, Korea. Quercus acuta and Quercus acutissima forests were natural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was a about 30-year-old plantation. Density of tree layer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as 2,250 trees/ha, 760 trees/ha, and 1,560 trees/ha, respectively. Mean DBH of tree layer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as 12.1 cm, 14.3 cm, and 14.1 cm, respectively. Total basal area of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was 37.1m2/ha for Quercus acuta forest, 19.0m2/ha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and 29.2m2/ha for Pinus rigida forest, respectively.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Camellia japonica was the first dominant species in subtree and shrub layers of all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Species diversity(H') of forest total was 0.814 for Quercus acuta forest, 0.956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and 0.866 for Pinus rigida forest, respectively. According to diameter distribution, Quercus acuta forest was supposed to remain unchanged for a long time. Quercus acutissima forest was changing to Camellia japomica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was changing to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