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낙동강 수변 생태복원지 시공 후 4년간(2007~2010년) 식생구조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nge for Four Years(2007~2010) after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Nakdonggang(River)

기경석, 김종엽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8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707-718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매수토지 생태복원지를 대상으로 2007년 복원 공사 직후부터 4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낙동강 수계 생태복원지 중 총 15개소(208,342m2)를 대상지로 하였고 조사는 2007년 11월, 2008년 9월, 2009년 10월, 2010년 9월에 각각 시행하였다. 식재종 및 개체수 변화 분석 결과 교목층은 당단풍나무, 상수리나무, 신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비교적 개체수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고 떡갈나무, 말채나무, 뽕나무, 쪽동백나무, 팥배나무는 100%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은 초본과 덩굴성 식물에 의한 피압으로 대부분 고사하였다. 식재밀도는 4년간 평균 28주/100m2 → 20주/100m2 → 16주/100m2 → 16주/100m2로 감소하였다. 생장량은 복원 공사 직후 이식에 따른 스트레스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활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흉고단면적 변화는 2007년 복원직후에 507.1cm2/100m2이던 것이 2008년에 301.8cm2/100m2로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는 324.9cm2/100m2(2009년), 372.7cm2/100m2(2010년)으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변 생태복원지의 식재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토양습도를 고려한 수종의 선정과 대상지 여건을 고려한 적정 식재구조의 차별화가 필요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4 years of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starting from 2007 when restoration began and propose vegetation management ideas for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in the purchased land around Nakdonggang(River). The study was conducted in each of 15 locations (208,342m2) in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in November 2007, September 2008, October 2009 and September 2010.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nges in planting species and popul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of trees,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acutissima, Acer ginnala, Quercus aliena, Quercus variabilis indicated relatively little changes in their numbers and Quercus dentata, Cornus walteri, Morus alba, Styrax obassia, Sorbus alnifolia var. macrophylla indicated a 100% withering rate. Most shrubs withered due to the oppressive pressure of herbs and climbing plants. The planting density decreased over 4 years on average 28 plants/100m2 to 20 plants/100m2 to 16 plants/100m2. Shortly after the restoration, The the amount of growth was reduced by restoration stress. however as time goes on after the restoration tended to stabilize. The changes in the basal area showed a decrease from 507.1cm2/100m2 in 2007 right after restoration to 301.8cm2/100m2 in 2008 and afterwards showed an increasing trend by going to 324.9cm2/100m2 in 2009 and 372.7cm2/100m2 in 2010. To improve the planting structure of the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the selection of tree species that have been considered for soil moisture and the differentiation of suitable planting structures that have been considered for local conditions were needed.

Author
  • 기경석 | Ki, Kyong-Seok
  • 김종엽 | Kim, Jong-Y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