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구룡령-약수산 마루금에 22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생군집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당단풍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층층나무-신갈나무군집 등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구룡령-약수산 마루금은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에서 까치박달나무와 층층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 신갈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피나무와 찰피나무, 노린재나무; 찰피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거제수나무와 고로쇠나무; 노린재나무와 철쭉 등의 수종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당단풍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등의 수종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8170~1.144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 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uryongryeong to Mt. Yaksu, 22 plots (100m2) installed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of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Q. mongolic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 mongolica w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 from Guryongryeong to Yaksusan and Carpinus cordata and C. controversa was partly occupied in some area. High posi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Q. mongolic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ilia amurensis and Tilia mandshuric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Tilia mandshurica and S. chinensis for. pilosa, R. schlippenbachii; Betula costata and Acer mono;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A. pseudosieboldianum and S. chinensis for. pilosa, R. schlippenbachii.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0.8170~1.1446 and it was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ridge area of the national parks in Baekdudae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