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Aspect Area in Mt. Eungbok

이하영, 이중효, 윤충원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6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91-80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의 응복산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 였다. 총 25개소(20 × 20m)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 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난티나무군락과 물개암나무군락으로 세분화 되었다. 난티나무군락은 철쭉군과 산딸기군으로 나누어지며, 산딸기군은 다시 태백제비꽃소군과 줄딸기소군으 로 분류되어 총 4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사면의 해발고에 따른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로 유지될 것이다. 종 다양성 분석결과 식생 단위 3에서 0.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생단위1에서 0.7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 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그룹Ⅰ은 철쭉의 식별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그룹Ⅲ은 물개암나무군락에서 주로 출현하는 식물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Mt. Eungbok located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The survey for 25 plots 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3 in the permanent plots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vege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vegetation units. In species composi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divided into 2 community such as Ulmus laciniata community and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community, U. laciniata community was subdivide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roup and Rubus crataegifolius group(into Viola albida subgroup, Rubus oldhamii subgroup). In terms of Importance values according to layer-specific and altitude of ridge, Q. mongolica was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of tree layer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as highest importance value of sub tree layer.Therefore Q. mongolica and A. pseudosieboldianum could likely remain in the future of tree layer and sub tree
layer respectively. Analysis of dominance most value of vegetation are on about 0.3. In ridge area was a species
diversity result, vegetation unit 3 showed the highest value 0.974 and vegetation unit 1 showed the lowest value
0.725. Based on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showed four types which were coincident with differential species
and character species on the constancy table. Specially type Ⅰplant species were mostly differential species
and the characteristic species, which appeared in th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lassified
phytosociologically, and type Ⅲplant species were mostly the species appearing in the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community growing in the relatively.

Table Content
서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REFERENCES
Author
  • 이하영(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a-Young Lee
  • 이중효(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 Jung-Hyo Lee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ung-Weon 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