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남해군 금산 식생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Geumsan in Namhae-gun of Korea

김현숙, 박관수, 이상명, 이상진, 이항구, 박환우, 박대연, 이찬희, 김정현, 이중구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09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2호 (2016.04)
pp.214-227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남해군 금산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과 2015년에 실시되었다. 본 연구 조사지의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DCCA ordination으로 분석한 결과, 10개의 자연림(졸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 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2개의 식재림(편백군락 및 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 천하저수지 위쪽 임도에서는 끈끈이주걱이 발견되 었다. 식재림을 제외한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졸참나무가 가장 높았으며(45.7), 중요치가 높은 주요 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대상지내 군락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평균 토양 pH는 4.28∼4.76으로 나타났다. DCCA ordination 분석 결과,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와 상관없이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곰솔군락 및 소나무군락은 다른 군락들 보다 해발고가 낮고 남사면에 주로 분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Geumsan in Namhae-gun.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DCCA ordination,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of natural forests (Quercus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Q.mongolica, Pinus densiflora, P.thunbergii, C. turczaninowii, Q. variablis, Zelkova serrata, C.laxifora and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and 2 communities of plantation forests (Chamaecyparis obtusa and Cryptomeria japonica). Among the communities other than the plantation forests, the importance value of Q. serrata (45.7) was found to be the highest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BH analysis among the species with high importance values, Q. serrata, Q. mongolica and C. tschonoskii showed normal patterns in the size-frequency distribution, suggesting that these species will continue to hold their current dominance. The average soil pH in the communities ranged from 4.28 to 4.76. The results of DC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Q. serrata was evenly distributed in the high and low elevation habitats. P. thunbergii and P. densiflora communiti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lowest elevation habitats on the southern slope.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Author
  • 김현숙(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youn-Sook Kim
  • 박관수(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Gwan-Soo Park 교신저자
  • 이상명(국립중앙과학관) | Sang-Myong Lee
  • 이상진(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Sang-Jin Lee
  • 이항구(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ang-Goo Lee
  • 박환우(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wan-Woo Park
  • 박대연(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Dae-Yeon Park
  • 이찬희(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Chan-Hee Lee
  • 김정현(KAIST 생명과학과) | Jung-Hyun Kim
  • 이중구(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oong-Ku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