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낙동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Analysis of Bird Community by Habitat Type in Nak-dong Jeongmaek

한승우, 강태한, 박치영, 신용운, 임은홍, 이준우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18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3호 (2016.06)
pp.335-343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낙동정맥의 구간 중 다양한 지형을 볼 수 있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낙동정맥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되는 5개의 산(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을 중점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각 산별로 조류 서식지 유형별 2개씩의 고정조사구를 설정하여 2015년 5월부터 10월 사이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낙동정맥의 5개의 산을 조사한 결과 총 47종 1,163개체의 조류가 확인되었다. 서식지 유형별 출현종은 임도 및 능선에서 31종으로 가장 많았고, 개체수는 계곡부에서 471개체로 가장 많았다. 낙동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영소길드 분석(Pearson Chi-Square test, χ2=13.377, p=0.037)결과 개발지, 계곡부에서 수관층 영소길드(Canopy nesting guild)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고, 임도 및 능선에서는 수동 영소길드(Hole nesting guild)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채이길드 분석 (Pearson Chi-Square test, χ2=15.555, p=0.004)결과 개발지에서 관목층 채이길드(Bush foraging guild)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고, 계곡부, 임도 및 능선에서는 수관층 채이길드(Canopy foraging guild)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길드 분석 결과 서식지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임도의 개설 과정에서 천이된 초본류로 인한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턱멧새 등의 유입과 같은 조류 서식지의 환경적 변화가 낙동정맥에 서식하는 조류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낙동정맥의 다양한 서식지 유형이 조류 서식에 다양하고 우수한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Of the Nak-dong Jeongmaek, five mountains, viz. Mt. Baek-byeong, Mt. Chil-bo, Mt. Baek-am, Mt. Un-ju, Mt. Go-heon, which are considered to well represent the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k-dong Jeongmaek as well as its various terrai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fixed plots were selected as sample study areas of each type of bird habitats and surveyed from May to October in 201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in the five mountains of Nak-dong Jeongmaek, a total of 47 species with 1,163 individuals birds was identified. The largest variety of species occupying a particular habitat type was found in the forest road and the ridge with 31 species. Also,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highest in the valley with 471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esting guild analysis of the vein (Pearson Chi-Square test, χ2 = 13.377, p = 0.037) by each Nak-dong Jeongmaek habitat type, the communities that belong to the canopy nesting guild showed a high frequency in development land and the valley while the communities that belong to the hole nesting guild showed a high frequency on the forest road and ridge. The results of Pearson Chi-Square test (χ 2=15.555, p=0.004) showed that the communities that belong to Bush foraging guild were most frequent in the development area and the community that belong to canopy foraging guild were most frequent inthe valley, the forest road and the ridge. These findings show that different habitat types of Nak-dong Jeongmaek support a great variety of birdlife by providing diverse and excellent resources.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
 결 과
  1. 낙동정맥의 서식 조류 현황
  2. 길드 분석
 고 찰
 REFERENCES
Author
  • 한승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한국환경생태연구소) | Seung-Woo Han
  • 강태한(한국환경생태연구소) | Te-han Kang
  • 박치영(한국환경생태연구소) | Chi-Young Park
  • 신용운(한국환경생태연구소) | Yong-Un Shin
  • 임은홍(한국환경생태연구소) | Eun-Hong Im
  • 이준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Joon-Woo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