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락 구조 비교 A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 Structure of the Forest Vegetation between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 in the South Sea, Korea

김준수, 전철현, 정성철, 김찬수, 원현규, 조준희, 조현제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4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771-78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우리나라 도서지역 산림식생의 인간 간섭 유무와 정도에 따른 생태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남해안 유인도서(대모도)와 무인도서(구도)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산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구조 및 종조성 특성(총피도, 중요치, 종다양성, 지표종, 생활형 조성 등)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 유형은 대모도에서 총 11개 식생단위(1개 군락군, 2개 군락, 개 아군락, 9개 변군락, 그리고 4개 아변군락), 구도에서 총 8개 식생단위(2개 군락군, 5개 군락, 그리고 6개 아군락)가 구분되었다. 총피도(S)와 종다양도(H′)에 있어서 구도는 교목층이, 대모도는 관목층이 다른 층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대모도 N-R5-D2-e, 구도 MM-R5-D2-e로 나타났다. 과중요치(FIV) 분석결과 대모도에서는 차나무과와 소나무과, 구도는 녹나무과와 참나무과 분류군들이 상위그룹을 이루고 있었으며, 과별 종구성비에 있어서는 대모도는 국화과가 4.5%(19종류), 구도는 백합과 가 7.3%(8종류)로 가장 높게 나타나 두 도서간 인위적 교란 정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지표종 분석에서는 대모도는 청미래덩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미소지상식물(N)이, 구도는 황칠나무,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 대형지상식물 (MM)이 대개 유의한 지표종(p <0.0005)으로 나타났다.

For basic information collection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 vegetation in Korean island areas, forest vegetation between inhabited(Daemodo) and uninhabited(Gudo) island was classified in the Z-M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both floristic composition and structure analyzed. Forest vegetation of Daemodo and Gudo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11 units and 8 units, respectively. Total cover and species diversity index(H′) of forest vege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sland, Daemodo has a high value in the tree layer, but, Gudo has a high value in the shrub layer. Composition of Life forms, Daemodo was N-R5-D2-e and Gudo MM-R5-D2-e. Family importance value(FIV), Daemdo has a high value in Theaceae(12.2) and Pinaceae(12.0) and Gudo in Lauraceae(16.5) and Fagaceae (11.6). The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 the family level, Daemodo is Asteraceae(4.5%) was the highest and Gudo is Liliaceae(7.3%). Indicator species of forest vegetation of the two islands, Daemodo is Nanophanerophytes(N) including Smilax china, Ligustrum japonicum and Eurya japonica was significant inicator species and Gudo is Megaphanerophytes(MM) including Dendropanax morbiferus, Castanopsis sieboldii and Actinodaphne lancifolia.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식생유형
  2. 구조 및 종조성
 REFERENCES
Author
  • 김준수(자연과숲연구소) | Jun-Soo Kim
  • 전철현(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Chul-Hyun Jeon
  • 정성철(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Sung-Cheol Jung
  • 김찬수(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Chan-Soo Kim
  • 원현규(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Hyun-Gyu Won
  • 조준희(자연과숲연구소) | Joon-Hee Cho
  • 조현제(동양대학교 대학원 산림비즈니스전공) | Hyun-Je Ch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