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흰뺨검둥오리의 지역간 월동서식지이용 비교분석 Interzon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intering Habitat of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황종경, 신만석, 강용명, 윤하정, 최지다, 정우석, 이준우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5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676-683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를 이용하여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에서 월동하는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을 파악하여 국내 수조류 서식지 보호∙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은 경기도 안성시의 도심하천인 안성천과 해남의 산수저수지로 지역별로 각각 흰뺨검둥오리 5개체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x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에 의하면 안성은 250.8 ㎢(SD=195.3, n=5), 해남은 89.1㎢(SD=69.6, n=5)이였다. 커널밀도측정법에 의한 50% 이용면적은 안성은 21.8㎢ (SD=26.9, n=5), 해남은 3.5㎢(SD=2.2 n=5)로 해남지역에서 좁은 행동권을 보였다.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을 보면 안성과 해남지역 모두 내륙습지와 논을 주로 이용하였다. 하지만 해남에서는 주간에, 안성에서는 야간에 논 이용률 이 높았으며, 월동후기로 갈수록 해남에서는 주간에, 안성에서는 야간에 논 이용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Wild -Tracker (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 to understand the habitats of the spot-billed duck winter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provid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habitats of the waterbirds in Korea. Study areas consisted of the Anseong stream in Gyeonggi-do and the Sansu reservoir in Haenam. Five spot-billed ducks were captured by region, and we attached Wild-Tracker to each of the spot-billed ducks. We analyzed the tracking location data using ArcGIS 9.x and calcu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Minimum Convex Polygon (MCP). The average home-range measured by MCP was 250.8㎢(SD=195.3, n=5) in Anseong and was 89.1㎢ (SD=69.6, n=5) in Haenam. 50% home-range measured by KDE was 21.8㎢ (SD=26.9, n=5) in Anseong and3.5㎢ (SD=2.2, n=5) in Haenam, indicating a narrow home range in Haenam. During the winter season, both wetland and paddy field were mostly used as habitats in Anseong and Haenam. While the paddy field utilization rate was high in the daytime in Haenam, it was high in the nighttime in Anseong. By late winter, Haenam’s day time paddy field utilization rate and Anseong’s night time paddy field utilization rate increased.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지역
  2. 부착 및 추적현황
  3. 행동권 분석
  4. 서식지 이용
 결 과
  1. 행동권 분석
  2. 서식지 이용률
 고 찰
 REFERENCES
Author
  • 황종경(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Jong-Kyeong Hwang
  • 신만석(국립생태원) | Man-Seok Shin
  • 강용명(농림축산검역본부) | Young-Myong Kang
  • 윤하정(농림축산검역본부) | Hachung Yoom
  • 최지다(농림축산검역본부) | Jida Choi
  • 정우석(농림축산검역본부) | Wooseog Jeong
  • 이준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Jun-Woo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