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간접적 산림체험이 인체의 심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direct Forest Experience on Human Psychology

전진영, 신창섭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97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420-427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인자인 경관과 청각요소를 활용한 산림의 간접적 영향이 기분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실험은 신체건강한 대학생 30명(23.6±1.7세)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5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약 2달간 실시되었다. 산림과 도시공간의 경관과 소리를 이용하여 3가지 요소(이미지 요소, 소리 요소 그리고 이미지+소리 요소)를 만들었으며, 대상자들이 실내에서 이 3가지 요소들을 감상하였다. 그리고 3가지 요소들이 기분개선에 미치는 영향들을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기분개선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검사로써 기분상태검사 (POMS)와 의미분별법(SD)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간접적인 산림의 자극은 긴장, 피로, 분노, 혼란, 우울감을 억제하고 활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산림의 자극 간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지 않았으나 도시의 자극에 비해 산림의 자극이 쾌적감과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irect effects of forest using the forest healing factors such as landscape and hearing factors on mood improve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from October 5, 2016 to November 30, 2016 targeting 30 healthy college students (23.6 ± 1.7 years old). After making 3 factors(image factor, sound factor and image+sound factor) using scenery and sound of both forest and urban space, participants undergone the test in a room. And the effects of these 3 factors on the mood improv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Profile of Mood State test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were used to measure mood improvement as a psychological test. As a result, indirect forest stimulation showed effects of suppressing tension, fatigue, anger, confusion, depression, and enhancement of vital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parison between forest stimuli. However, Compared with the urban stimuli, the stimulation of the forests has the effect of enhancing pleasant, natural feeling and calmness.

Author
  • 전진영(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Jin young Jeon (Forest Therap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361-763, Korea)
  • 신창섭(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학과) | Chang Seob Shin (Forestr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361-76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