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에 창설된 타이페이 비엔날레(TB)의 기획 메커니즘은 타이완 출신 큐레이터들의 공동 기획 체제(1996)로부터 일본 출신의 단일 큐레이터 체제(1998), 그리고 해외 큐레이터와 국내 큐레이터가 협업하는 이원 큐레이터 체제(2000-2010)를 거쳐서 다시 단일 큐레이터 체제(2012-2016)으로 회귀하기까지 다양한 과정을 겪었다. 특히 최근 단계에서는 서구 출신의 큐레이터들이 주도권을 장악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페이 비엔날레의 창립 당시 목표와 후대의 전개 양상 사이의 괴리 현상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이 행사가 타이완의 복합적인 지역 담론과 쟁점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단순히 동시대 국제 비엔날레의 추세를 수용하는데 머 물러 왔으며, 그 배경에 타이페이 비엔날레의 기획 메커니즘 뒤에 작용하고 있는 ‘자기 식민 지화’의 경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The Taipei Biennial (TB) was established in 1996. The curatorial mechanisms have evolved from employing a collective of Taiwanese curators (1996), to a single Japanese curator (1998), then to the Two-Curator Mechanism (2000-2010), featuring one international curator and one Taiwanese curator working together, before returning to the Single-Curator Mechanism (2012-2016), which has been dominated by curators from the West.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the TB and evaluates the differences between its original mission and later development, questioning whether the TB was merely a tool being used to adapt to the international biennial trend, or whether it could be seen as a mirror with which to reflect on the issues and complex local discourses in Taiwan. I argue that the TB has failed to deliver on its mission and a tendency towards invisible self-colonialization could be a fundamental reason behind the operation of the TB curatorial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