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도심 산지형 공원 능선부 식생유형에 따른 공기이온 평가 -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Air 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idge in Urban Park -Focused on Tangeumdae Park in ChungJu-

김정호, 이상훈, 윤용한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29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3권 제5호 (2019.10)
pp.587-59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도심 산지형 공원 내 식생유형별 요인이 공기이온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지점은 능선부 내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 따라 설정하였으며, 기상요소와 공기이온을 측정하였다. 공기이온 측정결과, 양이온 발생량은 평균 610.90±50.27ea/㎤, 음이온 발생량은 평균 723.58±64.25ea/㎤, 이온지수는 1.19±0.10 이였다. 식생유형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이온은 수종, 흉고직경, 층위구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온지수와 식생유형과의 관계에서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양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와 부의 상관관계, 음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능선부 내 이온지수의 영향요인은 기상요인과 식생유형을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의 상관계수가 더 높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수종 > 층위구조 > 울폐도 > 흉고직경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능선부를 대상으로 공기이온을 평가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향후 공기이온에 대한 연구에서 지형구조, 식생유형을 모두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계절에 따른 변화·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f each vegetation type in an urban, mountainous park (Tangeumdae Park in Chungju) on air ion. The measuring poi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ree species, diameter at breast height, crown density, and layered structur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air 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showed the average generation of positive ions of 610.90±50.27 ea/㎤, the average generation of negative ions of 723.58±64.25ea/㎤, and the air ion index of 1.19±0.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type, are as follows. Firstly, the air ion varied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chest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the layered structure, and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air ion and the vegetation typ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pecies, diameter at breast height, crown density, and layered structure. The c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pecies,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the crown density, and the an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pecies,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crown density, and layered structure. Thirdly, the ion index in ridges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vegetation type than the meteorological factors. In detail, the correlation was higher in the species > layered structure > crown density > diameter at breast height. This study had the limitation of evaluating air ions in the ridge. Therefore, future studies on air ion should consider both terrain structure and vegetation type and analyze the seasonal changes and comparison.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지 특성
    2. 식생유형에 따른 공기이온 평가
    3. 공기이온 상관분석
REFERENCES
Author
  • 김정호(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전공) | Jeong Ho Kim (Department of Green Environment System, KonKuk Univ.)
  • 이상훈(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Sang Hoon Lee (Departmen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Graduate School, KonKuk Univ.) 교신저자
  • 윤용한(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전공) | Yong Han Yoon (Department of Green Environment System, KonKuk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