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Home Range in Gujido and Chilsando Islets, South Korea

손석준, 강정훈, 권인기, 김달호, 이기섭, 유정칠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4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4권 제2호 (2020.04)
pp.99-10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철새는 다양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용하며, 특히 멸종위기 종의 번식지와 취식지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종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으로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대만과 홍콩, 중국 남부 지역, 일본, 제주도 등에서 월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인천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을 분석, 비교하였다.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북한 황해남도와 강령군 등의 해안지역 에서 행동권을 보였으며,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425.49±116.95 km2, KDE 95% 43.61±18.51 km2, KDE 50% 7.46±3.68 km2이었으며, 칠산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영광 백수 갯벌 및 부안 새만금 간척 지역에서 MCP 99.38±55.29 km2, KDE 95% 19.87±6.05 km2, KDE 50% 1.16±0.53 km2의 행동권을 보여 구지도 번식 개체가 칠산도 번식 개체에 비해 더 넓은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번식지인 구지도, 칠산도에서 이소한 저어새의 행동권은 주로 갯벌 지역이었으며, 이 인근 일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도로, 건설, 인간의 출입 등 인간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서식지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Migratory birds use a variety of breeding and wintering sites, and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understand more information on breeding and feeding site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are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distributed in East Asia. The majority of black-faced spoonbills breed on uninhabited islets off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they are distributed in East Asia such as Taiwan, Hong Kong, southern China, Japan, and Jeju island during the winter season. In this study, we used a wild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to analyze and compare home ranges of three black-faced spoonbills spending the post-fledging stage in Gujido islet in Incheon and Chilsando islet in Yeonggwang each in 2015.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in Guji islet showed a home range in coastal areas in Hwanghaenam-do and Gangneung-gun. The home range size (mean±SD) was estimated to be 425.49±116.95 km2 using 100% MCP, 43.61±18.51 km2 using KDE 95%, and 7.46±3.68 km2 using KDE 50%.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in Chilsando islet showed a home range in the Baeksu tidal flat and the Buan Saemangeum area with a size of 99.38±55.29 km2 using 100% MCP, 19.87±6.05 km2 using KDE 95%, and 1.16±0.53 km2 using KDE 50%. The figured indicated that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breeding in Gujido islet had a wider home range than those breeding in Chilsando islet.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the home ranges of black-faced spoonbills were mostly breeding in mudfla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human interven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structures and the human access, to protect the habitats during the period.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 지역
    2. 연구 방법
    3. 행동권 및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Author
  • 손석준(경희대학교 생물학과 및 한국조류연구소) | Seok-Jun Son (Department of Biology and Korea Institute of Ornighology, Kyung Hee University)
  • 강정훈(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 Jung-Hoon Ka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권인기(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In-Ki Kwon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달호(한국환경생태연구소) | Dal-Ho Kim (Korea Institute of Environmental Ecology)
  • 이기섭(한국물새네트워크) | Ki-Sup Lee (Waterbird Network Korea)
  • 유정칠(경희대학교 생물학과 및 한국조류연구소) | Jeong-Chil Yoo (Department of Biology and Korea Institute of Ornighology, Kyung Hee Universi)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