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강원도 두타산과 청옥산 일대 분비나무림의 식생 구조 분석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nephrolepis Forest in Mt. Doota and Mt. Cheongok, Gangwon-do, Korea

신동빈, 오승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35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413-421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강원 지역 두타산과 청옥산에 자생 중인 분비나무림의 종조성 분석을 통한 식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른 현장조사와 군집 분류를 시행하였다. 분비나무가 자생하고 있는 임분을 대상으로 약 400㎡ 면적의 조사구 18개소를 설정하고 현장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을 통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를 통해 시각화하였으며, 분류된 군집 별 종다양도 분석, 중요치 분석, 흉고직경 급 분포도 분석을 통해 각 군집 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 두타산과 청옥산의 분비나무림은 Group Ⅰ,Ⅱ,Ⅲ,Ⅳ 등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Group Ⅰ은 신갈나무, 분비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하는 신갈나무- 분비나무 경쟁림이며, Group Ⅱ는 분비나무, 마가목, 사스래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하는 분비나무-사스래나무 경쟁림이 다. Group Ⅲ는 분비나무가 우점하나, 다수 존재하는 낮은 직경급 신갈나무로 인해 앞으로 분비나무-신갈나무의 경쟁이 예상되며, Group Ⅳ는 분비나무, 마가목, 신갈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하며 분비나무가 모든 층위에서 우점중인 임분으로 조사되었다. 강원도 두타산과 청옥산 일대 분비나무림의 종다양도는 설악산, 백두대간 닭목령-댓재구간, 오대산 등 타지역 분비나무림의 종다양도에 비해 대체로 낮았으며, 열악한 생육환경과 신갈나무 등 활엽수종과의 경쟁관계가 예상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Abies nephrolepis forests by analyzing species composition in Mt. Doota and Mt. Cheongok in the Gangwon region with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In order to perform a field investigation, 18 survey areas with an area of about 400 m2 were set up for the stands where A. nephrolepis grow wild. Communities were classified through TWINSPAN and visualized using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Species diversity analysis, importance value analysis, and DBH class analysis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As a result, the A.nephrolepis forests in Mt. Doota and Mt. Cheongok have been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GroupⅠ, Ⅱ, Ⅲ and Ⅳ. GroupⅠis Quercus mongolica-A. nephrolepis competitive forest dominated by Q. mongolica and A. nephrolepis in the order. Group Ⅱ is A. nephrolepis-Betula ermanii competitive forest dominated by A. nephrolepis, Sorbus commixta, and B. ermanii in the order. Group Ⅲ is dominated by A. nephrolepis, but is expected to have competition between A. nephrolepis and Q. mongolica in the future due to the mass occurrence of Q. mongolica saplings. A. nephrolepis, S. commixta, and Q. mongolica are the dominant species in Group Ⅳ, and A. nephrolepis is the major dominant species in all layers.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A. nephrolepis forests in Mt. Doota and Mt. Cheongok is lower than other A. nephrolepis forests in Mt. Seorak, Maruguem, and Mt. Oda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servation measures an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A. nephrolepis forests in Mt. Doota and Mt. Cheongokis due to the harsh environment and the competition that may occur between A. nephrolepis and deciduous trees such as Q. mongolica in the future.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군집 분류
    2. 군집 분석
    3. 종합고찰
REFERENCES
Author
  • 신동빈(경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석사과정) | Dong-Bin Shin (Dept. of Forestry, Kyungpook National Univ)
  • 오승환(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임학전공 교수) | Seung-Hwan Oh (Dept. of Forestry, School of Forest Scien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