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융합적 예술창작의 근간으로서의 예술가의 통합적 노트 The Artist’s Total Note as a Source of Integrated Artistic Creation

김미교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944
미술이론과 현장
제37호 (2024.06)
pp.35-58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본 연구는 예술가가 작품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그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한 통합적 노 트인 플럭서스의 총보를 중심으로, 예술가의 통합적 노트가 융합적 창작을 기획하는 예술가 의 파라큐레토리얼의 실천으로써 가지는 시의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리하르트 바 그너의 ‘총체예술’부터 빈 분리파가 제시하는 ‘예술가사회’ 그리고 라즐로 모홀리 나기가 바 우하우스 극과 ‘총체극’에서 제안하는 동등한 협업관계까지 융합적 창작에 대한 태도와 방식 이 어떻게 확장되어왔는지 먼저 살펴본다. 이러한 협업에 대한 관계의 성향, 태도 등은 이후 1950-60년대 현대음악 작곡과 전위적 퍼포먼스에서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함께 활동 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재조명할 수 있다. 특히, 플럭서스가 제시하는 느슨한 예술가 커뮤니 티와 인터미디어의 개념을 총체예술의 계보 안에서 고찰해본다. 그리고 이 개념을 바탕으로 플럭서스 예술가들의 구체적인 총보와 퍼포먼스 사례들에서 예술가들이 서로가 서로의 기획 에 어떻게 퍼포머의 역할을 수행하여 협업했는지 그 과정을 추적한다. 당시 작곡이나 각본, 드로잉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된 예술가의 통합적 노트가 작품화 되는 과정은 여러 예술가들 의 협업을 필요로 했다. 이 연구는 오늘날 다원 예술에서 예술가들이 서로의 작품에서 다양 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 중, 고려해야할 협업의 태도에 대한 지침이 될 것을 기대한다.

Focusing on Fluxus’s full-score as a seminal form of total notes documenting the artist’s initial creative process,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ontemporaneity of the artist’s total notes as para-curatorial practices seeking integrated artistic creation. It investigates the evolution of methodologies and attitudes toward integrated creation, tracing a trajectory from Richard Wagner’s notion of Gesamtkunstwerk (total work of art) to the Vienna Secessionists’ Künstlerschaft (artist society), and further to László Moholy-Nagy’s idea of egalitarian collaboration embodied in Bauhaus theater and total theater. Building upon the loose artists’ community frameworks and the notion of intermedia proposed by Fluxus, this paper explores expanded perspectives on integrated creation. Based on a meticulous analysis of Fluxus artists’ full-scores and performanc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llaborative processes in which artists, guided by mutual respect, perform various roles in each other’s works.

목차
Ⅰ. 서론
Ⅱ. 융합적 예술창작의 계보에서 플럭서스
    1. 예술가사회: 동등한 협업관계
    2. 플럭서스 아이디어의 기반
Ⅲ. 예술가의 느슨한 커뮤니티와 인터미디어
    1. 느슨한 커뮤니티를 연결했던 플럭서스의 메일아트
    2. 매체와 매체 사이의 영역: 인터미디어
Ⅳ. 예술가의 통합적 노트: 총보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미교(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 Kim Mikyo (Seoul Media Institute of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