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Landsat-8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산불피해 심각도 판정 및 영향 인자 도출1 - 강릉, 동해 산불을 사례로 - Determination of Fire Severity and Deduction of Influence Factors Through Landsat-8 Satellite Image Analysis

이수동, 박경식, 오충현, 조봉교, 유병혁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50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8권 제3호 (2024.06)
pp.277-29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지형적인 이질성이 심한 강원도, 경상북도에 집중되고 있는 대형 산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피해 평가를 통한 의사 결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3월 5일에 강원도 강릉 및 동해에서 발화하여 3월 8일 19시경 진화된 대형 산불을 대상으로, dNBR을 활용한 산불 심각도 산정과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식생 또는 연료 유형을 대표하는 정규식생지수, 수종을 구분한 임상도, 수분함양을 나타내는 정규수분지수, 지형과 관련해서는 DEM 등을 수치화한 후 산불 심각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산불 심각도는 산불 피해 없음(Unbured)이 52.4%로 가장 넓었고, 심각도 낮음 42.9%, 심각도 보통-낮음 4.3%, 심각도 보통-높음 0.4% 순이었다. 환경요인의 경우 dNDVI, dNDWI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경사도와 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생과 관련해서는 산불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dNDVI, dNDWI, 경사도 모두에서 침엽수, 활엽수, 기타의 집단간 차이가 p-value < 2.2e-16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침엽수 와 활엽수의 차이가 명확하였는데, 강원도 지역에서 우점종인 소나무를 비롯하여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곰솔 등의 산불 심각도가 높아 침엽수가 활엽수에 비해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In order to manage large-scale forest fires concentrated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with severe topographical heterogeneity, a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efficient and rapid damage assessment using satellite images is essential. Accordingly, this study targets a large-scale forest fire that ignited in Gangneung and the Donghae, Gangwon-do on March 5, 2022, and was extinguished around 19:00 on March 8, to estimate the fire severity using dNBR and deriv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grade. As environmental factors, we quantified the regular vegetation index representing vegetation or fuel type, the forest index that classifies tree species, the regular moisture index representing moisture content, and DEM in relation to topography, and then analyzed the correlation with the fire severity. In terms of fire severity, the widest range was 'Unbured' at 52.4%, followed by low severity at 42.9%, medium-low severity at 4.3%, and medium-high severity at 0.4%.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NDVI and dNDWI,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lope. Regarding veget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coniferous, broad-leaved, and other groups in dNDVI, dNIWI, and slope, which were analyzed to affect the fire severity, were analyzed to be significant with p-value < 2.2e-16.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coniferous and broad-leaved forests was clear, and it was confirmed that coniferous forest suffered more damage than broad-leaved forest due to the higher fire severity in the Gangwon-do region, including Pinus densiflora, which are dominant species, as well as P. koraiensis, P. rigida and P. thunbergii.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개황
    2. 연구방법
결과
    1. 정규탄화지수(Normalized burn ration: NBR)
    2. 상관관계 분석
    3. 산불 피해지역의 수종별 차이 분석
고찰
REFERENCES
Author
  • 이수동(경상국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Soo-Do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 박경식(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 | Gyoung-Sik Par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오충현(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도시시스템 공학과 박사 과정 수료) | Chung-Hyeon Oh (Dept. of Urba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 조봉교(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도시시스템 공학과 박사 과정 수료) | Bong-Gyo Cho (Dept. of Urba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2725, Korea)
  • 유병혁(국립공원공단 사회가치혁신실 과장) | Byeong-Hyeok Yu (Social Value & Innovation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gju 26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