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회화 문화유산 복원을 위한 AI 활용 방안: 고지도 및 어진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AI for the Restoration of Pictorial Cultural Heritage: Focusing on Old Maps and Royal Portraits

정두희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2499
미술이론과 현장
제39호 (2025.06)
pp.63-75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이 논문은 회화 문화유산의 복원 현황과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복원 방안을 제시한다. 국내에서는 디지털 복원 및 모사본 제작을 통해 회화 문화유산의 원형 복원을 한 사례, 국외에서는 AI를 활용한 복원 사례를 소개한다. AI는 회화의 패턴과 스타일을 학습하여 복원을 지원하 며, 복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과정에 기존에 제작된 원형 복원 모사본의 과정 및 이미지를 학습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다. 결론에서는 AI 기반 디지털 복원이 전통적 복원 방식과 조화를 이루어 문화유산의 원형 복원과 가치 보존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특히, 고지도 및 산수화, 어진 및 초상화 관련 복원 등에서 강력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다고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restoration of pictorial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s digital restoration methods using AI technology. Domestically, there are cases of restoring the original form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digital restoration and replica production, while internationally, multiple cases of restorations using AI exist. AI supports restoration efforts by learning the patterns and styles of paintings, thereby enhancing restoration effects. Previously produced restorations and reproductions can be used as AI training data. In conjunction with traditional restoration, AI-based digital restoration can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e continuing progress of AI establishes a powerful tool, especially in the restoration of old maps, landscapes, royal portraits, and other historical portraits, which creates new restoration possibilities.

목차
회화 문화유산 복원을 위한 AI 활용 방안: 고지도 및 어진을 중심으로
국문초록
Abstract
투고자소개
I. 서론
Ⅱ. 회화 문화유산 복원 현황
    1. 국내 회화 문화유산 복원 현황
    2. 국외 AI를 활용한 복원 현황
Ⅲ. 디지털 복원 및 AI 기술 활용 방안
    1. 컴퓨터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디지털 복원
    2. AI를 활용한 이미지 복원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두희(영남대학교) | Chung Doo Hee (Ye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