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깨의 생육 및 함유율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Level on the Growth and Oil Qual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의 N, P, K 시비수준별 생육과 함유량, 지방산조성분포를 검토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질소배비(16k/10a)시용시 초장과, 주당삭수, 착삭부위장, 분지수등은 증가되나, 삭당입수와 종실중은 표준비(8k/10a)에서 가장 많았다. 2. 가리의 배비(18k/10a)시용시에는 지상부 생육과 등숙비율이 모두 높았으며, 인산 및 가리, 배비구(N 8, P2 O5 8, K2 O 18k/10a)에서는 표준비(N 8, P2 O5 4, K2 O 9k/10a)의 종실중 91kg보다 11% 증가되었다. 3. 엽의 무기성분중 N과 K2 O는 파종후 20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감소되는 경향으로 N과 K2 O 배비시 엽의 N, K2 O 배비시 엽의 N, K2 O 함량은 증대되었다. 4. 시비수준별 함유량은 질소의 배비시용구(16k/10a)와의 P2 O5 표준시용구(4k /10a)에서 가장 많았으나, 가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지방산조성은 양질의 Oleic acid는 질소, 인산,가리의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Linoleic acid는 인산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know the inorganic compound absorption of leaf, and the organic component, oil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of seeds by different fertilizer levels and growth stage of Pungn-yeonggage. Ripening rate and seed yield were highest under the standard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Nitrogen and potassium amount of leaves were highest at 20 days after seedling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osphate between growth stages. Absorptions of nitrogen and potassium were increased by applying doubl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Oleic fatty acid content was found highest under the double amount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er level, and linoleic fatty acid content was increased with double amount of phosphate fertilizer level.

저자
  • 崔彰烈(충남대학교) | 최창열
  • 曺在星(충남대학교) | 조재성
  • 徐寬錫(충청남도 농촌진흥원) | 서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