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쌀겨 시용시기에 따른 잡초방제, 벼 수량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Rice Bran Application Times on Weeds Control,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어린모, 중묘 등 묘령에 따른 쌀겨 시용 시기가 친환경 재배에 있어서 제초 효과와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그리고 더 나아가 미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1. 쌀겨 처리후 토양내 산화환원 전위차는 급격히 떨어져 심한 환원 상태로 변하였으며, 쌀겨 시용구에서는 쌀겨 살포 직후 1~2 일 사이에 용존산소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 쌀겨 시용구 중에서는 이앙전 5일 시용에서 잡초 본수 및 잡초 건물중이 가장 적거나 가벼워 잡초 발생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이앙 후 늦게 살포할수록 잡초 발생량은 늘어났다. 3. 쌀겨 처리시기에 따른 수량은 이앙전 5일 시용에서 관행시비와 수량이 비슷하였으나, 이앙후 표면처리에서는 수량이 현저히 감수되었다. 4. 쌀겨 시용 시기에 따른 처리별 완전미 비율은 쌀겨 처리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쌀겨 처리구에서 대체로 낮았다. 식미치는 완전미 비율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이 낮았던 쌀겨 시용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2~8 정도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ice bran on rice yield, grain quality and weeds control depending on applying times. The redox potential was severely reduced 4~7 days after rice bran application but that of conventional practice was reduced 17 days after transplanting. During the decomposing of the rice bran in the water,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was exhausted right away after rice bran application. The dry weight of weed increased as the rice bran application time was delayed that weed dry weights increased by 138% in applying before puddling (ABP), 219% in 5 DAT (days after transplanting), 300% in 7 DAT and 619% in 9 DAT compared to conventional practice. The rice yield reduced remarkably in rice bran treatments after transplanting compared to conventional practice and applying before puddling. In the rice quality, the head rice ratio in the rice bran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in conventional practice, and its protein content decreased.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rice bran application make the rice palatability high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ice qualities depending on application times.

저자
  • 원종건(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안덕종(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김세종(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최충돈(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이상철(경북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식물생명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