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ry matter yield and weed control of alfalfa according to postemergence herbicides treatment during spring seeding alfalfa. The seeding time of alfalfa was April 21, 2021, the seeding amount was 20 kg/ha, and the seeding method was by 20 cm wide. The alfalfa harvest was carried out at the early bloom stage (10% of flowering), and the harvest date was June 29, 2021. The test treatments were non herbicide (NH), hand weeding (HW), herbicide 1 (Trifluralin, H1), herbicide 2 (S-metolachlor, H2), herbicide 3 (Alachlor, H3), and herbicide 4 (Pendimethalin, H4). Alfalfa plant height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H2 (62.1±1.4 cm) followed by H3 (61.7±1.6 cm), HW (58.5±1.0 cm), H1 (57.2±1.3 cm), H4 (56.1±1.3 cm), and NH (54.1±1.2 cm) (p<0.05). Based on HW, H2 and H3 were high and H1 and H4 were short, but N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HW and H1~H4 (p<0.05). The dry matter yield of alfalfa in NH, HW, H1, H2, H3, and H4 were 717.2±94.2, 2,613.8±254.1, 1,667.8±94.1, 2,498.3±120.2, 2,435.0±118.3, and 1,793.7±354.3 kg/ha. HW is the highest among them (p<0.05). The feed composition of alfalfa was 22~24% of the dry matter yield, and the CP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H (23.6 %) (p<0.05). The NH had higher (p<0.05) NDF and ADF, but RFV was lower (p<0.05). The weed plant height was NH 98.0±3.3cm, HW 73.3±1.7 cm, H1 91.9±1.5 cm, H2 53.3±5.8 cm, H3 81.4±3.5 cm and H4 96.6±2.2 cm, and H2 was significantly smallest in the group (p<0.05). The weed dry matter yield was NH 4,770.4±232.5 kg/ha, HW 316.3±91.9 kg/ha, H1 2,353.4±173.7 kg/ha, H2 114.5±10.2 kg/ha, H3 752.7±440.6 kg/ha and H4 2,220.6±775.6 kg/ha. The weed control value was HW 94.1%, H1 53.5%, H2 98.2%, H3 84.9%, H4 48.7%, the weed value of H2 is similar to weed control value of HW.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postemergence herbicide treatment controlled weeds by more than 50% compared with no treatment, and among herbicides, H2 (S-metolachlor) was found to be on a similar level to hand weeding.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벼 무논직파 재배시 잡초성벼 발생 경감기술을 구명하고자 폿트시험으로 잡초성벼 방제 약제를 선발한 후 선발된 약제를 포장시험으로 처리하여 잡초성벼 제초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 처리후 담수기간별 잡초성벼 방제가를 보면 butachlor는 담수 10일부터 방제가가 100%이었으며 pretilachlor는 15일에 효과가 있었다. 2. 제초제 처리후 담수기간별 벼 입모율을 보면 10일후 벼파종시에는 약해가 다소 있어서 입모율이 떨어졌으나 15일후에는 butachlor는 83%, pretilachlor는 95%이었다. 3. 잡초성벼 엽기별 제초제 처리효과는 0 ~ 1엽기는 87 ~100%이었으나 2엽기에는 9 ~ 12%이었다. 잡초성벼의 포장방제가는 pretilachlor 기준량에서 90%, 배량에서 99%이었으며, 약해는 pretilachlor 배량에서 1 정도였다. 4. 벼의 입모율은 처리간 비슷하였으나 간장 및 수장은 제초제 처리에서 크고 길었다. 수량구성요소는 제초제 처리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쌀 수량은 무처리 287 kg/10 a에 비해 pretilachlor 기준량에서 54%, 배량에서 55% 많았다.
        3,000원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국내육성 IRG 신품종 "코윈어리" 재배지에서 광대나물의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연구한 결과이다. 잡초 억제율은 원호프 2회 처리구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나, IRG 피해도 커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다음으로 MCPP 2회 처리구에서는 잡초 억제율이 82%로 방제효과가 높고 IRG 피해도 적으며 잡초방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나물 방제를 위해 MCPP
        4,000원
        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시 일년생 잡초 제거를 위한 최적의 제초제조합을 선발하기 위하여 대조구(알라유제+씨마네수화제(T1)), 메토라크롤유제(T2), 치오벤카브+리누론유제(T3), 펜디유제(T4), 펜디+리누론유제(T5), 프로피소크로르유제(T6), 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7), 프로피소크로르유제+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8), 무처리(T9)의 총 9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표고 800m)에서 2년간(2001∼2002) 수행
        4,000원
        10.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수원(果樹園)에 발생(發生)되는 잡초(雜草)의 발생동태(發生動態)를 조사(調査)하고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시기(防除時期)를 확립(確立)코져 시험(試驗)하여 얻어진 약간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조사지(調査地)에서 여뀌외(外) 27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검정(發生檢定)되었다. 2. 시기별(時期別) 발생량(發生量)을 종합(綜合)해 보면 8월(月) 10일(日)의 여뀌 발생량(發生量)이 60.79%로 가장 우점(優占)하였으며 그밖에도 애기매꽃, 둑새풀, 냉이, 속속이풀, 피, 쇠비름, 왕바랭이 등(等)이 그 다음으로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3. Simpson's index는 5월(月) 1일(日)에 0.11에서 8월(月) 10일(日)에 0.40으로 크게 증가(增加)하여 여러 종(種)의 잡초종(雜草種)이 비교적(比較的) 고르게 발생(發生)해 있다가 특정잡초(特定雜草)가 크게 우점화(優占化)하는 현상을 보였다. 4. Oxyfluorfen을 3월(月) 25일(日)에 1ha당(當) 5kg(상품량(商品量)) 처리(處理)는 처리후(處理後) 120일(日)까지 93.3%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내어 적합한 처리시기(處理時期) 및 엽량(葉量)으로 사료(思料)되며 1ha당(當) 3kg을 3월(月) 25일(日)에 처리시(處理時)는 6월말(月末)경에 비선택성(非選擇性) 제초제(除草劑) paraquat을 처리(處理)하면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가 가능(可能)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단그라스계 잡종(雜種)인 Pioneer988의 수량(收量)과 잡초억제(雜草抑制) 및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에 대한 파종량(播種量)과 제초제(除草劑)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량은 ha당(當) 25kg와 50kg으로 처리하였으며 제초처리(除草處理)는 인력제초(人力除草), alachlor 처리, simazine 처리 및 alachlor와 simazine을 복합(複合)처리하였고 대조구로 잡초(雜草) 효임구(效任區)를 두었다. 수량(收量
        4,000원
        12.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보리의 제초작업체계를 확립하는 기초자료로서 적정제초시기를 구명코자 제초시기를 달리하여 포장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회 제초의 경우, 월동후 조기(2월 상순)에 행할수록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이 증가하였고, 후기의 잡초량도 감소하였다. 2. 초기잡초의 방임기간은 2월 10일이나 늦어도 2월 25일까지였다. 3. 제초를 끝내도 좋은 시기는 3월 11일까지였고, 4월 이후의 제초는 수량증수에 큰 효과가 없다고 생각되었다. 4. 잡초와 맥류와의 경쟁시기는 2월 25일부터 3월 30일까지가 가장 심하였고, 그 후에도 경쟁이 계속되면서 약화해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잡초를 제거해 주어야 수량감소를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 주요 잡초는 둑새풀, 벼룩나물, 갈퀴덩굴의 순위였다.
        4,000원
        13.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4.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재배에 있어서 선택성약제를 찾아내기 위하여 약제에 대한 콩의 저항성실험과 사양토 조건에서 폿트 및 포장실험을 병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에 대하여 고도의 선택성이 있어서 표준시용량의 2-3배량 처리로도 정상 생육이 가능한 약해는 Triallate, Lasso, Machete, Propachlor, Nitrofen, MO, Chloroxuron, Nitrofen+Dinoseb 약제등이었다. 2. 약간의 선택성이 있는 약제는(표준시용량의 1-2배 사용) Propazine, Propazine, Diruon, Metabromuron, Swep, Linuron, HE-314, PCP등이었다. 3. 감수성이 예민하여 표준시용량에서도 고사 또는 심한 약해를 낸 약제는 Simazine, Fluorometuron 이었다. 4. Mathete, Lasso, Kerb, Nltrofen, Nitrofen+Dinoseb, Swep, Linuron, Simazine, PCP 등 약제의 폿트 및 포장실험에서의 비교실험 결과에 있어서 가) 심한 약해를 입힌 약제는 Simazine (포장)이었고 Linuron, Kerb 처리구에서도 부분적으로 약간의 약해를 냈다. 나) Nitrofen, Nitrofen+ Dinoseb, Lasso, Machete, Swep는 초기부터 최후까지 전혀 약해를 불수 없었다. 다) 제초효과는 포장에서의 Simazine 처리구를 제외하고 모든 약제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라) Simazine, Linuron 처리구에 있어서는 특히 피와 바랭이에 대해 약효가 없는 편이었다. 마) 방등산이와 개망초는 Kerb에 대하여 지항성이었다. 바) Lasso, Machete는 화본과잡초에 매우 강력한 살초력을 가졌으나 여뀌 등이 약간의 내성을 보였다. 5, 콩밭 잡초방제를 위하여 사용된 Lasso, Machete, Nitrofen, Swep, Nitrofen+Dinoseb, Linuron, Kerb 구등은 파종후 1회의 약제 살포로 수확기까지 무제초 방임재배가 가능하며 수량면에서도 관행구에 뒤지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1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e a microbial weed control agent, HCN-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 selected strain of WA15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koreensis by morphological, cultural, biochemical and 16S rRNA gene analyses. The conditions for HC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a One-Variable-at-a-Time (OVT) method. The optimal HCN production conditions were tryptone 1%, glycine 0.06%, NaCl 1% , and an initial pH and temperature of 5.0 and 30℃,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 for HCN production was glycine. Under optimal conditions, HCN production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asal medium. The WA15 strain had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indoleacetic acid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elongation of plant roots and siderophore and ammonification inhibiting fungal growth, and produced hydrolytic enzymes, such as cellulase, pectinase and lipase. The strain was able to inhibit the growth of phytopathogenic fungi, such as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and Fusarium oxysporum, by the synergistic action of volatile HCN and diffusible antimicrobial compounds. A microscopic observation of R. solani that was teated with the WA15 strain showed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fungal mycelia, which could explain the role of the antimicrobial metabolites that were produced by the WA15 strain. The volatile HCN produced by the WA15 strain was also found to have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ermi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Pseudomonas koreensis WA15 can be applied as a microbial agent for weed control and also as a termite repellent. Furthermore, it could be applied as a microbial termiticidal agent to replace synthetic insecticides.
        16.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의 집단패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3년 국내에 도입되어 양식과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종(species)은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Ampulariidae과, Pomacea속에 속하는 Pomacea canaliculata Lamarck이다.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조사 결과 왕우렁이 성체들이 국내에서 월동되고 있으나 왕우렁이 알로는 월동되지 못하고 있다.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1:1.99~2.33배로 암컷의 구성비가 높았다. 생장량은 1일에 87.7 mg이었으며, 껍질은 각고가 0.31 mm, 각경이 0.33 mm씩 자랐다. 왕우렁이의 생장은 먹이의 조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강하여 3개월까지 생존율이 약 80%에 달하였다. 왕우렁이 서식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다량의 서식 밀도에서는 약간의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되는 밀도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벼 이앙초기에 투입되는 왕우렁이가 2~3일이내에 일시에 집단 패사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미소생물인 패충류(참씨벌레)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패충류 (참씨벌레)에 의하여 패사되는 비율은 밀도에 따라 2.86%와 5.71%로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은 벼 이앙시기가 빨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추운 저온의 날씨로 인하여 논의 흙속으로 들어가서 죽거나 일부는 새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다량이 죽은 것으로 오해되었다.
        1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weed control on disease incidence,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and to provide effective method to farmers at the vineyard. At the raincoat greenhouse cultivating ‘Campbell Early’, several weed controlling methods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Mean temperature of plots between soil covering (C.B., W.F., S.N., P.F. and R.H.) and non soil covering (M.W.2, M.W.3 and U.T.) were similar with 26.2℃ (July) and 25.8℃ (Aug.), but humidity of soil covering was sharply decreased in late-July under 40%. Soil water were all higher in soil covering plots than that of non-soil covering, however, soil temperature was recorded lower in soil covering plots. Disease incidence of Peudocercospora vitis according to soil coverings had effect on black plastic film mulching by decreasing grapevine leaf spot to 85% in July, 69% in August,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showing the smallest lesion incidence in FMB. Among growth characters, internode length and internode width of black plastic film mul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PAD value of black plastic film mulching was recorded the highest. It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reatments, but brix was recorded highly in black plastic film mulching with 14~15°Brix.
        1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ed control ís the most ímportant íssue ín organíc farmíng systems that límít crop growth and theír yíeld. Fíeld experíments were conducted ín organíc soybean (Glycine max Merrí/l)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íon effect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 Weed populatíon and fresh weíght were monítored after 6 weeks of saft and seawater treatments. The most ímportant weeds were Dígítaría sanguínalís, Portulaca oleracea, Tradescantía reflexa and Chenopodíum album var. centrorubrum, but also 6 other specíes were observed ín soybean arable fíeld. Soybean crops under seawater or theír solíds applicatíon were well grown. The results treated wíth salts and seawater índícate decreases by 13.4-30.8% ín weed densíty and by 18.0-43.2% ín theír fresh weíght and soíl hardness íncreases of up to 2.1-fold. Salt and seawater províded good addítíonal weed control, but they were caused a seríous problem ín deteríoratíon of soíl physícal propertíes.
        2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ganic farming agriculture, integration of cover crop into cropping system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soil quality, prevent soil erosion, and control wee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trol weeds in soybean fields by integration of cover crops such as hairy vetch and rye. Due 10 cover crop mulching, weeds occurrence and growth were radically decreased. One month later after transplanting, weed growth inhibition rate of hairy vetch and rye treatment were 98% and 89% respectively, while crimson clover treatment were 50%. These effects last long over two month. The soybean yield of hairy vetch treatment was best. Therefore using hairy vetch as cover crop was highly recommended in organic soybean field.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