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화 광선택성 차광망 처리가 화색 발현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hoto-selective Colored Shading Screen on Expression of Flower Colors and Growth of Spray Chrysanthemu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8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청색, 흑색, 적색 및 회색 차광망을 이용하여 광질 의 선택적 투과를 통한 효과적인 화색 발현과 시설내 기온 및 엽온 저하를 통한 국화의 생육 증진을 목적 으로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조도는 차광망의 종류에 관계없이 48~51% 저하되었으며 기온은 흑색과 청색, 엽온은 적색 및 청색 차광망 처리시 낮게 측정되었다. 적색과 회색 차광망 처리시 초장, 절화장, 화수경경 및 화폭은 크고 굵었으나 청색과 흑색 차광망 처리시는 반대의 경향이었으며 개화소요일수는 청색과 흑색 차 광망 처리시 8~9일 지연되었고 소화수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엽록소 함량은 청색차광망 처리 시 높았고 안토시안 함량은 회색을 제외한 청색, 흑색 및 적색 차광망 처리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볼 때 청색과 흑색 차광망 처리는 엽록소 함량과 안토시 안 함량 및 색도 a값은 높았으나 생육이 저조하였으며 개화 지연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적색 차광망 처리시에 는 초장과 절화장이 크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엽록소 함량과 안토시안의 함량 또한 높게 나타나 하절기 유 색국화 화색퇴화 방지를 위한 차광망 처리에는 적색 차광망 처리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hoto-selective colored shading screens on expression of flower colors, growth and development of spray chrysanthemums. Light intensity was reduced by 48% to 51%, air temperature was lowered in the black and blue shading screen treatments, and leaf temperature was lowered in the red and blue shading screen treatments.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and flower diameter increased by red and gray shading screen treatments, while they decreased in the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Also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delayed flowering by 8 to 9 days and decreased numbers of florets.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by the blue shading screen treatment and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by the blue and red shading screen treatments. Overall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improved chlorophyll content, anthocyainin content and a value of chromaticity. On the other hand, general growth, such as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and diameter of flower, decreased under shading screens of blue and black colors, and flowering was delayed by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However, red shading screen treatment improved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chlorophyll content and anthocyainin content. The result shows that useful shading screen treatment for prevention of flower discoloration was a red shading screen.

저자
  • 김주형(충북농업기술원) | Ju Hyoung Kim
  • 이희두(충북농업기술원) | Hee Doo Lee
  • 노창우(충북농업기술원) | Chang Woo Rho
  • 이철희(충북농업기술원) | Cheol Hee Lee
  • 백기엽(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타) | Kee Yoeup P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