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字 解讀’과 ‘讀者의 背景 知識’의 相互 作用을 通한 漢文 讀解 敎育 試論 KCI 등재

Ways of Chinese-letter reading educat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decoding Chinese letters and learners' prior knowledge

‘한자 해독’과 ‘독자의 배경 지식’의 상호 작용을 통한 한문 독해 교육 시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7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은 언어 교육 연구의 핵심 과제였다. 언어 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모형을 개발했다. 학습자는 작은 언어 단위로부터 시작해 서 보다 큰 언어 단위로 확대하면서 의미를 파악한다고 보았다. 綴字, 音節, 單語, 句, 文段, 그리고 글 전체로 의미를 수용한다고 하였다. 글에 초점을 둔 모형이었 다. 이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다. 의미의 출처는 독자에게 있으며 독자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글의 의미가 구성, 예측,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통합적 관점이 제기 되었는데, 학습자가 한 편의 글을 읽는 데에 는 문자 해독과 독자의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계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글의 의미를 파악, 구성, 수용한다는 것이다. 한문 학습자는 ‘어떻게’ 한문을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가, 라는 질문을 해 보 자. 전통적으로 우리는 한문 문장을 제시하고, 문장에 사용된 한자의 음과 뜻을 가르쳤다. 개별 한자의 대표적인 음과 뜻을 먼저 가르치고, 문맥에 적합한 뜻을 더하여 지도했다. 한자의 뜻을 고려하고, 문장의 구조나 형식을 참고하여, 문장을 풀이했다. 그리고 문장의 중심 내용, 화자의 의도, 글의 주제 등을 확인하고 강조했 다. 곧, 개별 한자에서, 한자 어휘로, 어구로, 그리고 문장 전체로 의미를 파악했다. 근래의 언어 교육 연구자들은 언어 학습의 주체로서의 ‘학습자’에 주목했다. 학 습자에 주목할 때, 우리는 글에 사용된 철자, 어휘, 구절의 의미나 구조의 파악에 유의하는 한편, 글의 주제나 소재, 글의 특성, 핵심 단어나 어휘에 대한 독자의 사 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의 활성화에 주목하게 된다. 한문 학습자의 경우, 일차적으로 글에 사용된 개별 한자의 해독을 통해 글의 풀 이를 시도한다. 이와 함께 글의 구조, 허사의 쓰임, 문장의 형식 등 한문 지식을 활용하여 2차 풀이를 수행한다. 한자의 해독, 글의 구조와 형식, 허사의 쓰임 등은 글 요인이다. 문장의 독해에 글 요인은 중요 배경 요인이다. 그러나 한문 학습의 주체는 글도 아니고, 한문 교수자도 아니다. 바로 한문 학습자이다. 한문 학습자의 글에 대한 배경 지식의 정도와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정도가 글의 독해에 많은 영향 을 끼친다. 글의 독해 과정은 글에 대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인데, 그 과정은 글 요인과 독자 요인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진행된다. 이 점에 주목할 때, 한문 독해 교육에서 한자 해독, 한문 지식과 함께 독자의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전 략을 기획할 수 있다. 이 주제와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生成할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의 분량 과 문종을 다양하게 도입하여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안 의 효과는 질적 연구로 입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정치한 질적 연구 설계를 요한다. 셋째, 교수․학습 방안 및 수업 지도안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 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문 독해의 경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자 교육 혹은 識字 교육의 접근 경로로 이른바 ‘集中 識字’와 ‘分散 識字’ 방법이 학 계에 보고된 바, 식자 교육과 연계된 한문 독해 교육 연구가 요청된다.

考察及理解學習者學習某一特定語言的過程是語言教育研究的核心課題之一。語言學者大致提出了三種模型。初期,提了學習者把從小的語言單位入手,然後擴展到大的語言單位,從而理解全語言的意思。就是通過從認識綴字、音節、單語、句、文段以及整個文章的順序來理解整個意思。這是文章意義中心說。以後,有學者主張讀者通過將自身已存知識、經驗的結合對文章的意思進行推測、組織確定。最後有的學者提出了綜合性的結論,即,學者在學習某一篇文章中,不僅要對文字進行逐一解讀而且要結合自身的已存知識、經驗,兩個因素不斷互相作用為了更深層次的解讀。學習漢文者將如何理解並且掌握好漢文的意思呢?一般用一下模型:首先展示一個句子,然後教組成句子的每一個漢字的音和義。並且著重強調句子中有特殊含義的漢字並對其在文章脈絡中的特殊意思進行分析理解。通過對句子中每個漢字的字義以及句子的結構形式進行綜合分析,從而完成對句子的理解以及解釋。並且強調句子的中心內容,作者的創作意圖以及文章的主旨。即,在理解每一個漢字的基礎上掌握漢字詞匯、文句、以及整個文章的意思。最近語言學習研究者重視學習者,他是語言學習的主體。在注重學習者本性下,我們不僅應該留意掌握文章中所使用的綴字、詞匯、句節的意思和機構,而且文章的主題、素材、特徵、核心詞匯以及讀者的已存知識,背景知識的活用性也受到了重視。一般學習漢文的人,首先要通過對文章中漢字的逐一解讀來對文章進行第一層解讀。然後通過對文章的結構,虛詞的使用,文章形式的分析對文章進行第二層解讀。漢字的解讀,文章的結構形式以及虛詞的使用等是文章的要素。這些要素是理解文章的重要背景的關鍵要素。但是漢文學習的主體既不是文章本身也不是漢文教學者,而是漢文學習者自己。漢文學習者包含的有關學習內容、背景知識和其已存知識能作用理解文章,這些因素的程度會對理解文章產生很大的影響。解讀文章的過程是讀者對文章意義的一個知識組成過程,在這個過程中文章的各個要素和讀者的自身要素始終不斷地相互作用。因此,漢文教育中在重視漢字的解讀,漢文知識的同時可以對讀者已存知識的活用性戰略進行一定的規劃。與此相關還有以下的幾個問題。第一,有必要增加教材的分量和文種的多樣化,從而展開一定的討論。第二,教授․學習的效果可以立證于質研究方式。為此需要進行精密的研究設計。第三,針對教授․學習方案以及教案需要收集學習者的反映材料,通過對材料的分析總結給漢文學習者指出一條有效的學習途徑。最後,提出了在學界中所提及的被稱為漢字教育或識字教育的捷徑的“集中識字”和“分散識字”的學習方法進行研究的要求。

The process through which a learner understands a specific language has been a core task of language education studies. Linguists developed roughly three models on this topic. These models consider that a learner grasp meanings by starting from a small language unit and expanding its scale towards larger language unit. It suggests that learners accept meaning following the order of spelling, syllable, word, phrase, paragraph and the whole text. It is shown that this model is based on texts. About this view, another opinion was suggested; the source of meaning resides in readers and it is through readers’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 that the meaning of a text is organized, predicted and decided. Later, synthetic view was suggested. This view maintained that decoding characters and learners’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 continuously interact with each other when learners read a piece of text. Let us think about ‘how’ the Chinese-letter learners understand the letters and grasp the meanings. Traditionally, Chinese-letter learners have been suggested Chinese-letter sentences and taught the letters’ sound and meaning which are used in the sentences. Teachers have taught representative sounds and meanings of individual Chinese letters, and guided learners with adding a meaning appropriate to the context. Meanings of the letters were considered,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sentences were considered, and sentences were interpreted. Then, teachers checked and emphasized the core contents of sentences, the intention of a narrator and a topic of the text. That is, Chinese-letter teaching has grasped the meaning by focusing on individual letters, Chinese-letter words, phrases, and the whole sentences. Recent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noted that ‘learners’ are the main agent of language learning. When focusing on learners, not only are we aware of grasping the meaning and structures of spellings, words and phrases used in the texts, but also pay attention to activating readers’ prior knowledge or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theme, subject matter and characteristics of texts, core vocabularies and words. As to Chinese-letter learners, they initially try to interpret the texts by decoding individual Chinese letter used in the texts. Additionally, they perform second interpretation by using their Chinese-letter knowledge such as the text structure, use of functional characters and sentence forms. Text elements include decoding Chinese letters, structure and form of texts, and uses of functional characters, and text elements are important background elements in interpreting sentences. However, the main agent of Chinese-letter learning is neither the text, nor the teachers; it is the learners. The degree of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text and activation of their background knowledge significantly influence reading the text. The reading process is where readers compose their meaning about the text, and this process progresses with text elements and reader elements constant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Noticing this point, strategies on activating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long with Chinese-letter decoding and its knowledge can be planned in Chinese-letter reading education. Concerned with this topic, the following tasks can be created. First, the discussion needs to be developed inviting various quantities and types of texts. Second, effect of teaching-learning way can be verified by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more delicate qualitative research design is required. Third, materials about learners’ response to teaching-learning method and lesson guidance plan need to be collected, and the route of learners’ Chinese-letter reading should be suggested through this. Finally, considering that ‘Intensive methods of a Chinese character interpretation’ and ‘Dispersive methods of a Chinese character interpretation’ were reported in the academic circles, studies on Chinese-letter reading education related with Chinese-character interpretation education is required.

목차
Ⅰ. 硏究 問題
Ⅱ. 漢字 解讀 및 ‘漢文 知識’을 通한 敎授․學習 活動
Ⅲ. 漢字 解讀과 ‘讀者의 背景 知識’의 相互 作用을 活用한 敎授․學習 活動
Ⅳ. 向後 課題
저자
  • 金王奎(韓國敎員大學校 敎授) | 김왕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