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曾坪 二城山城 出土 鐵製遺物의 性格

曾坪二城山城出土の鐵製遺物の性格と嶺南地域との交流

증평 이성산성 출토 철제유물의 성격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0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증평 이성산성은 남성과 북성 등 2성이 유기적으로 기능한 토성으로, 산성에서 출토된 철기와 철기 생산 유물의 검토를 통하여 남성과 북성에서 모두 철기제작이 이루어졌으나 제철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산성 내에서는 단조철기 위주의 철기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남성과 북성 출토 철기는 대부분 3세기 후반~4세기 전반의 시기에 수렴되어 이 시기에 취락 형성 및 토성 축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철기의 변화상과 성벽과 주거지와의 중복관계를 통하여 원삼국시대후기부터 취락을 형성하고 있던 바탕위에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축성된 이후에도 성내의 여러 시설들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면서 늦어도 5세기 중엽까지는 성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철기 중 大型鐵釘과 주조철부는 풍납토성 등 백제 중앙으로부터 공급된 것이 있는 반면에, 鐵鋌과 무경삼각형철촉, 릉형철촉 등 동남부지역의 김해․부산지역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철소재 또는 화폐로서 철 및 철기의 교역과 유통과정을 잘 보여주는 철정의 경우 미호천과 금강 수계 및 서해안을 따라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이 시기에 변한 및 가야와 밀접한 교류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大河川수계를 이용한 교역과 교류, 철기 및 철소재의 유통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역․교류는 원삼국시대 전기부터 있었으며, 원삼국시대 후기에는 한강 하류역까지 교류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에는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북내륙지역과 주로 교류하였으나, 3세기경부터는 김해․부산지역으로 교류 대상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산성 출토 동남부지역 계통의 철기들은 후자와의 교류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교류 및 교역은 주로 철제품 및 철의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이후 4~5세기에 들어서도 백제와 가야간의 교류와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다만 5세기 중후엽 이후에는 김해․부산지역에서 합천․고령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로 교류의 주 대상이 바뀌어 갔다. 이러한 철 및 철기의 교역․교류과정에는 철제품의 교역과 제철기술자의 이주․정착 단계, 철제품과 철소재(철정)의 교역과 신․구의 이주․정착 제철기술자들의 기술이전 및 현지화 단계, 제철 및 철기의 백제적 정형화와 확산 단계 등 3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曾坪二城山城は南城と北城の組み合わせて用いられた土城である。南城と北城では、いずれも鍛造鐵器の製作が行ったことは明らかである。南城と北城から出土した鉄器の年代は主に3世紀後半~4世紀前半のものであり、土城が築かれた時期を示している。土城は原三国時代以来の集落に続いて築かれており、遅くても、5世紀中葉までは城の性格を持っていたと考えられる。鉄器は百済の中央政部から与えられたものに対し、鐵鋌と無莖三角形鉄鏃、菱形鉄鏃などは金海・釜山地域との交流によって入手したものが多い。特に、鐵鋌の分布は、美湖川と錦江水系および西海岸に集中しているので、西海岸と河川を経由した交渉と交流に伴う鉄器や鉄素材の流通が行ったことは明らかである。このような交渉や交流は原三國時代の前期まで遡り、原三國時代の後期になると、漢江下流域まで広がるようになる。前期には、主に、慶州をはじめとする慶北内陸地域勢力と交流を行ったが、3世紀になると金海․釜山地域勢力との交渉頻度が高くなる。この勢力との交流や交易の目的は、主に、鉄や鉄製品を得ることであり、4~5世紀になると、百済と伽倻との交易として活性化することになる。5世紀中葉になると、交易対象は、従来の金官伽倻から陜川・高靈地域を中心とした大加耶への変化することになる。まとめると。二城山城を中心にした交流や交易は、忠靑內陸地域において、鉄や鉄文化の現地化とともに、百済の鉄器の正型化過程に重要な役立ちになったと考えられる。

목차
Ⅰ. 머리말
Ⅱ. 二城山城內철기제작 실태와 철기의 시간적 위치
1. 철기의 출토상황과 철기제작
2. 철기의 성격과 시간적 위치
Ⅲ. 이성산성 출토철기의 계통과 교류 흔적
1. 경기남부․충청 내륙지역과 영남 지역간의 교류에 대한 인식
2. 충청내륙 출토 嶺南系遺物과 交流樣相
Ⅳ. 맺음말
저자
  • 김길식(용인대학교) | 金吉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