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6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인지하는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감의 정도를 분석함으로서 우울감의 요인들을 감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적지지와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주요한 영향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223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그 변인들 간의 관계와 특성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나이와 교육정도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가족관계, 경제관계, 건강상태가 우울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감의 영향요인으로는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stress and social support levels and find a strategy to de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at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ress factors and social support were examined and major determinants of depression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23 older adults using senior citizen centers. A questionnair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ools for stress,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and educational level affected on the depression level. Second, among stress factors, family relationship,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affected on the depression level. Third, informational support had the strongest effect on depression, followed by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herefore, it showed that stres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Discus! s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 스트레스와 우울감
  2. 사회적지지와 우울감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분석결과
  1.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2. 척도의 타당성 검증
  3.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의 관계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존철(한영신학대학교 박사수료) | Lee, Jhon-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