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中國의 長城資源調査事業과 장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and New Understanding on the Great Wall of China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과 장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2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이 글은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2005∼2014)에서 보이는 새로운 장성의 정의는 무엇이며 논리적 근거로 삼은 것은 어떤 것인지, 거기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이제 중국은 길게 이어진 성벽과 거기에 세워진 關門만이 아니라 烽燧나 城堡와 같이 점점으로 떨어져 있는 시설물까지 장성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들도 성벽과 유사한 방어선으로 파악하여 장성 성벽이 없더라도 장성으로 기능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북방의 胡人을 막기위해 세운 장벽만이 아니라 漢人이 세우지 않은 장벽이라 해도 장성자원에 넣고 있다. 축조 주체가 누구인가의 구분 없이 역사상 명멸했던 제 왕조 모두를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장성을 민족 융합의 장으로 보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지만 장성은 고대 중국인과 다른 민족의 경계를 구분짓고 이동을 차단하기위한 구조물이라는 종래의 이해를 대체하기엔 여전히 역부족으로 보인다. 장성은 그 자체가 정치 군사적 경계이자 민족적 경계인 것이다. 또한 중국 학계는 西北지역의 漢代변경유적 연구를 근거로 삼아 東北지역의 烽燧線과 郡縣의 城城을 장성 방어체제의 일부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두 지역의 봉수선은 분포형태와 기능에서 전혀 다른 유적이었다. 서북지역의 봉수선은 군현의 前方에 위치하여 최전선이 되었던 것에 반해 동북지역의 것은 군현 내의 성곽을 연결하는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전자는 봉수선의 전면에 방벽(塞)이 축조되어 방어선을 이루었지만, 동북지역에서는 새가 찾아지지 않는다. 街道를 따라 설치된 봉수선(道上燧)인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이 의지한 새로운 정의는 서북지역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제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를 근거로 동북지역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유적을 재해석하여 장성 유적으로 간주한 것은 결코 학술적인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가 없는 것이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new definition of China's Great Wall, what logical grounds are involved for the definition and what problems arise therefrom in regards with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2005~2014). Nowadays, China regards facilities like beacon fire stations or fortresses that are away from the Great Wall of China itself as part of the Great Wall, not to mention the long walls and gateways. Chinese people view facilities without ramparts as functioning as part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identifying them as similar defense line. Not only the ramparts built to prevent Northern barbarians (胡人), but those built by other peoples rather than by Han Chinese(漢人) are regarded as the Great Wall resources. Irrelevant of who built the Great Wall of China, all the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become the Great Wall builders. Although, such an understanding reflects Chinese authorities' intention to regard the Great Wall of China as the arena to harmonize ethnic groups, it is still insufficient to replace the previous understanding that it is a structure to draw boundaries with other peoples and block the movement of ethnic groups different from ancient Chinese. The Great Wall of China itself is the political, military and ethnic boundaries. The Chinese academia regards the beacon lines formed along beacon fire stations(烽燧線) and the fortress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郡縣, administrative units) in the northeastern region as part of the defense system, based on the studies on the remains in the frontiers of the China's Han Dynasty in northwestern region. The beacon lines of the two regions are totally different remains in terms of distribution type and function. The beacon line in northwestern region was located in the forward area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thus, became the front line. Meanwhile, the beacon line in the northeastern region was a type of line connecting fortresses within counties and prefectures. The former became the defense line by building bulwarks in the frontline areas of the beacon line, but, the bulwark is not found in the northeastern region. Actually, the beacon line in the northeastern area was built along the thoroughfare. The new definition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can only be restrictively applied to the northwestern region. Based on this, it cannot be viewed as an appropriate academic research method to regard the existing remains as the ones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reinterpreting tho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목차
1. 머리말
 2. 중국의 長城資源調査事業과 長城保護條例
 3. 中國長城學會와 새로운 장성 개념의 창출
 4. 장성의 새로운 정의와 유적의 재해석
 5. 맺음말 - 중국의 장성학과 우리의 과제
저자
  • 이성제(동북아역사재단) | Lee, Seong-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