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淸州 父母山城 出土 鐵製遺物의 系統과 占有勢力의 變化推移

淸州父母山城出土の鐵製遺物の系統と占有勢力の遷

청주 부모산성 출토 철제유물의 계통과 점유세력의 변화추이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2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부모산성에서는 건축부재류, 농공구, 무기, 마구 등 다수의 철제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들 철제유물의 특징과 계통, 사용 시기에 대하여 검토해본 결과, 백제계․고구려계․신라(통일신라)계 등으로 변별되었다. 이와 같이 계통 분류된 철제유물들을 연대 추정이 가능한 타 유적 출토 철기들과 대비하고, 함께 출토된 토기류의 편년과 대비해본 결과 크게 다섯 개의 획기로 나누어지며, Ⅴ기 이후에도 다시 2개의 획기로 구분될 가능성이 상정되었다. Ⅰ기는 백제 한성기 후기의 철기와 토기 등의 유물들과 이와 관련된 주거지․저장수혈 등이 나타나는 시기로서, 5세기 중후엽 이전부터 백제 세력이 점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Ⅱ기는 5세기 중후엽으로 편년되는 고구려계 유엽형․착두형 철촉 몇 점과 토기편들이 미미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이 시기부터 6세기 전반까지 고구려 세력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城內에는 고구려 세력이 직접 주둔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Ⅲ기는 6세기 중엽~후엽, 신라계 무기류와 농공구류가 신라후기양식토기들이 급격히 돌출하는 시기로서 6세기 중엽부터 신라세력에 의해 석축산성이 축성된 후, 6세기 후반까지 점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Ⅳ기는 백제 사비양식 무기, 농공구류와 토기와 기와가 돌출하는 시기로서 부모산성을 백제가 다시 탈환하여 일정 기간 점유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Ⅴ기는 6세기후반~7세기 3/4분기 이전으로 편년되는 장경식의 신라계 무기류, 농공구류, 건축부재류 등 대다수의 신라계 철기들이 다시 집중되는 시기로서 부모산성이 신라세력에 의해 다시 탈환되어 그 이후 지속적으로 점유되었던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Ⅴ기 이후인 7세기 3/4분기 이후에는 신라토기와 철제유물은 잘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7세기 중후반경, 백제(660)와 고구려(668)의 멸망과 삼국통일, 서원소경의 설치(685)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종전에 비해 부모산성의 위상과 중요성이 약화되었거나 새로운 편재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상정되었다. 그 후 8세기중엽 이후 전형적인 통일신라 토기들이 다시 나타나고 있어, 기존에 청주지역에 설치된 서원소경을 서원경으로 개칭되면서 행정개편이 이루어진 것과 연동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부모산성은 5세기 중엽 ~ 8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백제․고구려․신라가 수 차례에 걸쳐 서로 뺏고 뺏기는 각축장으로서 행정․군사․물류 거점 역할을 하였던 중요한 관방시설로서, 부모산성과 청주지역 뿐만 아니라 시기에 따라 삼국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관방유적이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父母山城では建築材・農工具・武器・馬具などの鐵製遺物が数多く出土した。この遺跡から出土した遺物は百濟系․高句麗系․新羅(統一新羅)系のものが含まれており、およそ、5つの画期を経て変遷し、鐵器以外の遺物をまとめて見ると、さらに2つの画期が見られる。第Ⅰ期は百濟の漢城期後期に当たる鐵器や土器などが用いられた時期であり、歴年代としては5世紀中後葉以前から百濟の領域に入っていたと考えられる。ただ、この時期、城郭の有無は不明である。第Ⅱ기期は、歴年代として、5世紀後葉であり、多くないが、高句麗系の鉄鏃と土器が出土する。この時期から6世紀前半まで高句麗の支配下にいたと考えられるが、高句麗軍の駐屯は行っていなかったと推定去れる。第Ⅲ期は6世紀中葉~後葉であり、突然、新羅系の武器・農工具や新羅後期樣式土器などが出土する。6世紀中葉以来、新羅勢力によって石築山城が築かれており、6世紀後半まで新羅の支配下にいたと考えられる。改めて、第Ⅳ期になると、百済系の武器・農工具・土器・瓦などが出現し、泗沘期の百済によって、この地域を占有した時期である。第Ⅴ期になると、6世紀後半~7世紀3/4半期の武器類・農工具類・建築材など、新羅系の鐵器が改めて出土する。やはり、父母山城が新羅勢力によって再占領されたことがわかる。7世紀3/4半期以後になると、新羅土器と鐵製遺物の数は著しく減ることになる。このような状況は、百濟と高句麗の滅亡と三國統一などの過程における、父母山城の位相弱化を示すことと考えられる。その後、8世紀中葉以後になると、改めて、統一新羅の土器が出現する。このような状況は、西原小京が西原京に改稱されるなどの行政改編に伴う、父母山城の位相強化の結果であると考えられる。

목차
Ⅰ. 머리말
 Ⅱ. 부모산성 출토 철제유물의 특징과 편년
  1. 建築部材
  2. 農工具
  3. 武器
  4. 馬具(鐵製具)
 Ⅲ. 부모산성 출토 철제유물의 변화과정과 점유세력의 변화 추이
  1. Ⅰ기
  2. Ⅱ기
  3. Ⅲ기
  4. Ⅳ기
  5. Ⅴ기
 Ⅳ. 맺음말
저자
  • 김길식(용인대학교) | 金吉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