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토리텔링 수업 연구의 전망과 교사 역할 KCI 등재

Perspectives and Vision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Storytel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7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이 논문에서는 수업에서 이야기가 활용되는 기법을 중심으로 사례기반, 문제기반, 시나리오기반, 내러티브기반이라는 스토리텔링 수업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과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을 검토했다. 사례는 과거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이야기이다. 사례기반 수업에서는 문제와 해결책이 정해져 있다. 내러티브는 허구적인 것 혹은 실제로 일어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유형의 이야기보다 학습자를 훨씬 더 몰입하게 한다. 시나리오기반 수업에서 이야기는 어떤 해결책을 평가하는 준거를 가지고 있다. 시나리오와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가 어떤 결정을 하고 행동하는지에 따라서 결과는 달라진다. 문제기반 수업은 최적의 해결책 준거나 기준이 없는 비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가르치고자 할 때 특히 적절하다. 이야기를 활용하는 수업은 정보처리에 필요한 인지 전략, 즉 주의집중 안내, 정교한 부호화, 지식 조직, 자기 참조, 감정 유발 등을 촉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스토리텔링 수업의 기저에는 패턴 인식자로서 정신을 보는 이론이 있다. 우리는 비슷한 구조, 사건, 맥락을 유의미한 전체로 연합해서 정신적인 삶을 조직하고 파악하려고 한다. 이야기를 통해서 지나간 삶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미래에 대비해서 새롭게 의미를 구성하고, 준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정신적 작용 덕분이다. 스토리텔링 수업은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질문하고, 협력해서 상호작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정해진 지식과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불편한 것이 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과제에 대한 이해, 대안적인 교재 개발, 수업 전략 등의 차원에서 교사들의 새로운 인식과 변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es about storytelling as an instructional method and to suggest what teachers need to do for maximizing the potentialities of storytelling. An instructional storytelling could be grouped into one of four types as case-based, problem-based, scenario-based and narrative-based instruction. Cases are examples of authentic situations in real world contexts that illustrate important lessons. A narrative is a recounting of a sequence of events.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narrative itself can be anticipated, enabling the student to know when to focus attention and what to focus on. Scenario-based learning includes a series of problems and choices. It is more interactive than case-based learning. Problem-based instruction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when there is no known solution to the problem presented. Benefits may be derived from generating potential solutions and thinking in novel ways. Stories used in instructional settings function as rich contexts which include concepts, principles, skills, values and emotions and facilitate learning, guiding attention, encouraging elaborative encoding, facilitating knowledge organization, encouraging self reference and inspiring emotion. Underlying all the practices of instructional storytelling, there is a theory of mind as a pattern recognizer. Our mind usually attempt to identify a meaningful unity in the diverse and traumatic events. We can construct new meanings in prior experiences through storytelling and prepare for the future with them. People learn best by actively participating, questioning and collaborating in an authentic and contextually rich settings like instructional storytelling. But teachers who think that their major task is to transmit a lot of knowledge to students could be uncomfortable with instructional storytelling.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learning tasks, development of alternative textbooks will contribute to change the teachers’ perception of new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storytelling.

저자
  • 정옥년(가톨릭대학교) | Ok-Ryun,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