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동군 북천면 지역 함티타늄광체 내 티탄철석의 산출특성 KCI 등재

Occurence of Ilmenite on the Ti-bearing Ore Bodies in Bukcheon, Hadong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9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지역은 하동 회장암체의 최남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회장암체의 남서쪽에서 섬록암이 관입하여 나타난다. 이 지역의 회장암 및 섬록암 내에는 티탄철석 광체가 발달하고 있는데 이 중 섬록암 내의 산상은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없다. 회장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은 단일광물로 산출되는 반면, 섬록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 내에는 티탄철석-산화철, 금홍석-산화철 간의 용리조직이 관찰된다. 티탄철석 내 MnO의 함량은 섬록암체 내 광체에서 2.14~3.74 wt%로 회장암 내 광체에서의 함량보다 높게 나타나며, 사장석은 섬록암체에서 안데신(An28.7-42.9)의 조성을 보여주고, 회장암에서 라브라도라이트(An57.1-72.8)의 조성을 보여준다. 섬록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에서 관찰되는 용리조직은 섬록암의 관입으로 공급된 열에 의해 부분 재용융이 일어나고 냉각과정에 티탄철석이 산화철과 금홍석으로 용리된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area (Jikjeon-ri) is located in south end of the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along the south-western boundary, diorite intruded the Hadong anorthosite. Ilmenite ore bodies are extended in both anorthosite and diorite. And their occurrence in the diorite are not studied yet. While no particular textures are found in the ilmenite within the anorthosite, the ilmenite within the diorite shows characteristic exsolution texture, that is, ilmenite phases are separated into rutile and Fe-oxide and the ilmenite and Fe-oxide. MnO composition in ilmenite ratios are 2.14~3.74wt%, it has higher composition in diorite than that in anorthosite. The plagioclase composition display andesine (An28.7-42.9) in the diorite and labradorite (An57.1-72.8) in the anorthosite in composition. The exsolution of ilmenite has been developed during the cooling of partly melted ilmenite into rutile and Fe-oxides which is related to the intrusion of the diorite.

저자
  • 곽지영(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Kwak, Ji Young
  • 최진범(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최진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