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키워드 광고의 잠재적 위법성 - 상표권, 퍼블리시티권, 부정경쟁행위 등을 중심으로 -

Potential Illegality of Keyword Ads - focusing on the trademark, publicity right, and unfair compet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3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키워드 광고에서 상표권 침해 또는 퍼블리시티 권 침해 여부와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그러나 키워드 광고 는 광고주가 설정한 키워드를 검색어로 입력하면, 해당 광고주가 지정한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 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만을 할 뿐이다. 따라서 키 워드 광고에 검색어로 타인의 상표를 지정한 행위 가 상표법상 상표적 사용에 해당된다고 보기는 어 렵고 부정경쟁방지법상 출처표시 기능이나 영업표 지 기능을 가진다고 보기도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검색 결과에 자신이 찾고자 하 는 결과 이외의 결과도 함께 표시된다는 사실을 이 미 알고 있으므로, 타인의 상표를 키워드로 사용하 였다고 하여 영미에서 논의되는 최초관심혼동이론 에 따라 상표권 침해를 인정하거나 해당 상표에 대 한 희석화가 발생하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키워드 광고는 광고주의 홈페이지를 연결시켜주는 다리 역할만을 할 뿐이어서 키워드 광고를 통 해 연결된 홈페이지에서 상표권 침해 또는 부정경 쟁방지법위반행위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키워 드 광고는 해당 행위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 것에 불 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 자체로 곧바로 상표권 침해나 부정경쟁방지법위반으로 인정되기는 어려 울 것이다.
퍼블리시티권은 아직 국내에서는 그 인정 여부 에 대한 논의조차 정리되지 아니하여 키워드 광고 가 퍼블리시티권 침해로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제한적인 측면이 있으나, 키워드 광고 자체 만으로 퍼블리시티권 침해로 곧바로 연결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퍼블리시티권 자체의 인정여부가 논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키워드 광고를 퍼블리시티권의 측면에서 보기보 다,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이나 형사상 명예훼손 책 임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으 로 보인다.
키워드 광고에 타인의 상표를 무단으로 사용하 는 행위는 타인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여 쌓은 상 표 또는 표지가 가지는 신용이나 명성에 무임승차 하여 부당하게 이익을 얻는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향후에는 키워드 광고가 가지는 권리 침해의 요소 등을 보다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키워드 광고에 관한 법률상 근거와 타인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구제수 단 마련이 필요할 것이

The probable legal issue of keyword advertising is trademark infringement, unfair competition, or publicity right. However, setting the word as a keyword just show the advertiser’s website links to the internet user. So setting someone else’s trademark as a keyword is not use of that trademark and it may not be infringement of the trademark. In addition, most internet users already know that search results contain the result of they didn’t intended to search, so just for using other’s trademark as a keyword doesn’t make dilution or confusion. Publicity right also can’t be unauthorized use just for using his or her name as keyword.
Although keyword advertising is not illegal now, but unauthorized use of other’s trademark can be a free ride on that trademark’s credit or reputation. So relative legislation or remedie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목차
요약
 I. 서설 - 논의의 배경
 II. 키워드 광고 일반
 III. 광고주의 책임
  1. 키워드 광고와 상표권 침해
  2. 키워드 광고와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3. 키워드 광고와 퍼블리시티권 침해
  4.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위반
 IV. 검색서비스 제공업체의 책임
  1. 키워드 광고 서비스 자체에 대한 책임
  2. 개별 키워드 광고 행위에 대한 책임
  3. 소결
 V. 결론
 
저자
  • 강상구(법무법인(유) 태평양 번호사) | Kang, Sang-k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