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월엄범오위'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 천문관에 관한 판단 유형: 4개 집단간 비교 연구 KCI 등재

Patterns of Reasoning Regarding the Korean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Planet Occultation by the Moon: A Comparative Study among Four Group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월엄범오위(月掩犯五緯)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인 천문관(天文觀)에 관하여 중학생(164명), 고등학생(157명), 대학생(172명) 및 일반인(139명)의 판단 유형과 판단 이유를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월엄범오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방식에 동의하는 응답자들이 15.7%,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들이 38.1%, 분명히 말할 수 없다는 응답자들이 46.2%이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전통적인 천문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여 과학적으로 옳은 판단을 내린 반면, 그와 같이 판단한 중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둘째 ,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데에는, 응답자들의 집단이나 판단 유형과는 관계없이, 자연관과 과학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판단 이유가 되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유사한 관념을 지니고 있는 응답자들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다수의 경험적 자료와 실험을 통한 증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연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반면, 중학생들과 일반인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을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경험과 과학 지식 또한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응답자들의 과학 지식의 차이가 판단 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들은 개인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며, 그들이 속한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사고의 방식 또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따라서, 다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한 과학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학생들의 자연관과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We investigated people's patterns of reasoning regarding the Korean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Planet Occultation by the Mo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sample which consisted of 632 participants: middle school students(n=164), high school students(n=157), university students(n=172), and the public(n=139). It was revealed that 15.7% of the participants agreed, 38.1% disagreed, and 46.2% were neutral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 comparatively large por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de a scientifically correct judgement by disagreeing with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a relatively small propor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disagreed. Participants' views of nature and views of science were the major reasons for making their judgements. Most participants were fixed with similar views to the Korean traditional view of nature. Most of the participants valued using more extensive evidence and experimental proofs in 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considered their metaphysical beliefs, such as view of nature and view of science,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did. In contrast to thi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ublic depended more strongly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Participants' social experiences and their scientific knowledge were also important reasons for making their judgement.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ir scientific knowledge seemed to exert different influences on their reaso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differences in how an individual think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communities. Thus,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considering multicultural settings are needed. In addition, science educators and resear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pupils' metaphysical beliefs such as their views of nature and views of science.

저자
  • 오필석 | Oh, Phil-Seok
  • 최승언 | 최승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