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老柏軒 鄭載圭의 南冥學 繼承과 19세기 儒學史에서의 의미 KCI 등재

Nho Baek-hun Jung Jae-kyu's Succession of the Nammyeong School and Meanings of Confucianism History in the 19th Century

노백헌 정재규의 남명학 계승과 19세기 유학사에서의 의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老柏軒 鄭載圭(1843-1911)는 1885년 后山 許愈와 함께 南冥의 講學處인 雷 龍亭을 중건하여 南冥의 유적이 복원되고 南冥學이 천양되도록 노력하였다. 1887년에는 8월 18일부터 28일까지 10박 11일의 기간 동안 智異山을 등람하 면서 남명에 대한 추념과 경모를 가졌으며, 자신의 학문과 삶이 새롭게 진작되 는 계기로 삼았다. 그리고 1889년 后山 許愈가 남명학의 핵심을 분명하게 드러 내기 위해 「神明舍圖銘或問」을 지은 것에 동감하고, 그것에 대한 자신의 견해 를 자세히 개진하였다. 노백헌이 이러한 일련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이유를 두 가지 정도로 정 리해 볼 수 있다. 하나는 同鄕의 先賢을 後學으로서 마땅히 선양해야 한다는 책 임감이다. 다른 하나는 남명의 학문과 사상을 당시의 위기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유학사적 道統論 속에서 그 의미를 확 신하였기 때문이다. 전자는 노백헌 자신이 생장하고 활동한 三嘉縣이라는 지역 과 그것에 연유한 지역적 정서에 바탕한 것으로, 개인적·지역적 책임감이다. 후 자는 유학사의 맥락 속에서 남명의 위상을 파악하여 남명의 선양이 가지는 의 미를 확신한 것으로, 시대적 상황의 인식과 유학사적 도통의 계승 의지이다. 19세기 강우 지역 학자들은 남명의 학문과 사상을 중심축으로 삼아 분열된 각 학파들을 통합하고자 하였으며, 유학의 근본 정신을 회복하고 실천 의지를 고양하여 국내외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전망을 바라보려 노력하였다. 노백 헌의 남명학 계승은 이처럼 19세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강우 지역이라는 공간적 배경을 이해한 가운데 그 의미를 가늠해 볼 수 있다.

Nho Baek-hun Jung Jae-kyu(1843-1911) and Husan, Heo-yu rebuilt Noeryongjeong, Nammyeong's Ganghakcheo(lectures) in 1885 to restore Nammyeong's remains and to spread Nammyeong School. As Nho Baek-hun Jung Jae-kyu climbed Jirisan for ten nights and eleven days from August 18 to 28, 1887, he payed a tribute to the memory of Nammyeong and admired and had a chance to newly boost his own academy and life. In addition, Husan, Heo-yu agreed to write 「Sinmyeongsadomyeong- hokmun」 to clearly show the key of Nammyeong School in 1889 and stated his opinion on it in detail. The reason why Nho Baek-hun promoted such a round of activities actively is summarized as two. Firstly, he has a responsibility to enhance ancient sages in the same hometown as younger students. Secondly, he considers learning and ideology of Nammyeong urgently necessary to overcome risky situations of the day and is sure the meaning in Dotong Theory(the Confucian Theory of Spiritual Enlightenment) of Confucianism history. The former is personal and local responsibility based on the area Samgahyeon where Nho Baek-hun was born and grew up as well as the local emotion. The latter is the awareness of periodical situations and the will of Confucianism historical Dotong(Confucian spiritual orthodoxy) to succeed as it sures the meaning of enhancement of Nammyeong by grasping authority of Nammyeong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history. Based on the learning and ideology of Nammyeong, scholars in the rainfall area tried to unify separated schools in the 19th century, overcome risk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look at a new view. Nho Baek-hun's succession of Nammyeong School can expect the meaning while understanding spatial backgrounds such as periodical situations of 19th century and the rainfall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남명학 계승 양상
1. 「頭流錄」에 나타난 남명 존숭의 면모
2. 「神明舍圖銘」에 대한 관심과 견해 개진
3. 雷龍亭 복원 사업의 추진과 그 의미
Ⅲ. 맺음말을 대신하여 - 19세기 유학사에서
노백헌 정재규의 남명학 계승이 가지는
의의
저자
  • 全丙哲(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전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