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산 거주 초중고 학생의 굴절상태와 환경적 요인의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Refractive statu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high schools in Il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성장기 학생의 굴절이상도를 측정하고 설문을 이용한 환경적, 유전적 요인을 분석 하여 근시 받생 및 진행에 관한 역학 연구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한다.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일산 거주 초, 중, 고교생 393 명(평균연령 11.6 :t 3.6 세)을 대 상으로 조절마비 자봉굴절검사, 자동각막곡률검사 및 A-scan Ultrasonography 와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60% 가 끈시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도가- 증가하고 원시도가 감소하 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사이에서 굴절이상도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축장과 각막곡률반경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큰시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굴절이상도와 안축장 사이의 상관관계가 굴절이상도와 각막굴절력의 상관관 계보다 높았다. 굴절이상도와 몽무게 및 신장 사이에서 각각 상관성이 있었고, 안축 장과 몸무게 및 신장 사이에서도 각각 상관성이 있었다. 설문분석 결과 대상자의 54.9% 가 얀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며, 초등학교 저학 년은 20%, 초등학교 고학년은 48.3%, 중학생은 63.9%, 고등학생은 78.6% 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고 연령이 많아질수록 안경 착용자의 비율이 높았다 부모의 안경착용군에서 근시자가 많았고, 대부분의 독서거리는 20-30cm로 양호 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컴퓨터의 사용 시간과 빈도는 중학생에서 많았고 학년 의 증가에 따라 컴퓨터 이용시간이 많았다 하루에 텔레비전 시청시간과 컴퓨터 이용 시간은 1-3 시간이 많았으며 고등학생에서 근시자가 많았다. 컴퓨터 작업거리는 주 로 20-30cm 였으며 고학년일수록 근시자가 많았다. 방과후 학습시간은 고등학생을 제외하고 1-3 시간이 대부분이었으며 고등학생에서 근시자가 많았다 독서습관파 관 련하여 책상에 앉아서 학습하는 집단보다 둡거나 엎드려서 학습하는 집단에서 근시 자가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reference data for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occurrence and prevalence of myopia by measuring the refractive eπor m the students in growth period and by analyzing the genetic factors. Cycloplegic autorefraction, autokeratometry, A-scan Ultrasonography,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the 393 subjec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no ocular pathology(mean age: 11.6:!: 3.6 years) in Ilsan. 60% of subjects was myopia.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degree of myopia was increased and hyperopia was reduced as age increases, a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S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While axial lengths and comeal pow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which was correlative to the degree of myopic power. The correlation of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 was higher than that of refractive error and comeal power. Not only refractive eπor but also axial length has correlation with weight and height.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myopia showed that 54.9% of the subjects wore glasses or contact lenses; 20% of elementary(l -2) school students, 48.3% of elementary(4• 5) school students, 63.9%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78.6%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older, the higher ratios of glasses wearers. More myopes were found in the group with glasses-wearing parents. Most of them kept a suitable reading distance of 20-30 cm. Middle school students used computers longer and more often than any other group, and the subjects spent much time in using computers as grade is getting higher. In terms of daily TV watching time and working computer time, ‘1-3 hours’ took the largest shar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more myopes. In general, the distance from students to computer monitor was 20 - 30 cm, and the more myopia. The higher grade, the more myopes. studying time after school was 1 - 3 hours excludi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frequency of works showed more myopes. In terms of reading posture, students in the group, of which the students work lying prone or down, showed more myopes compared to the group of which students

저자
  • 김정미(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Jeong-Mi Kim
  • 오세자(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Se-Ja Oh
  • 장태원(일산 새빛성모병원) | Tae-Won Jang
  • 정미아(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Mi-Ah Jeong
  • 최정훈(의정부 성모병원) | Jeong-Hoon Choe
  • 원찬희(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Chan-hee Won
  • 마기중(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