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산 거주 초등학생의 2년간 굴절이상도 변화에 따른 안광학상수와 비구면계수의 상관성 KCI 등재

Correlation of asphericity and ocula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pherical equival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lsan city during two ye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일산 거주 초등학생 33명 66안 (9.01±1.16, 세 2004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각막지형도검사 및 A-scan Ultrasonography 를 실시하고 2년 동안 변화도를 분석하여, 한국인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와 제조 및 임상에서 콘택트렌즈 피팅에 관한 참고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2년간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818±0.704 D(p=0.000) 근시쪽으로 변하고, 안축장은 0.310±0.309 mm(p=0.000) 증가했으며, 각막정점 곡률반경은 -0.007±0.033 mm(p=0.000) 변하고, 각막난시는 -0.024±0.367 D(p=0.590) 변화하였다. 각막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비구면계수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 비구면 계수의 변화도는 10° 반경 0.005±0.092(p=0.691), 20°반경 0.003±0.076(p=0.692) 및 30° 반경 -0.012±0.063(p=0.127) 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비구면계수와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각막 정점 곡률반경, 안축장은 상관성이 없었고, 2차 측정시 비구면계수와 각막난시는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으나(r=0.283, p=0.021), 변화도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r=0.009, p=0.945). 근시군에서는 각막 정점 곡률반경 (1차 : r=-0.399, p=0.014, 2차 : r =-0.361, p=0.028) 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변화도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0.410, p=0.012). 비구면계수와 각막난시는 낮은 상관성이 있었으나 (1차 : r=0.354, p=0.032, 2 차 : r=0.427, p=0.008), 변화도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r=-0.012, p=0.945). 반면, 비근시군은 비구면계수와 제시된 안광학상수 사이에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비구면계수과 관련된 각막의 비구면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성장기 학생의 각막 형상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해서는 근시안에 대한 장기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o obtain reference data for contact lens fitting in clinics and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contact lens for Korean young students, cycloplegic autorefraction, corneal topography(Oculus Co., Keratograph V 1.65, Germany) and A-scan ultrasonography (Sonomed A/B Scan 5500, USA) were performed on 66 eyes of 33 young students who were living in Ilsan city near Seoul(mean age of 9.01(1.16 yrs in The change of spherical equivalent, corneal apical radius, axial length and corneal astigmatism during 2 years were -0.818±0.704 D(p=0.000), -0.007±0.033 mm(p=0.044) and 0.310±0.309 mm(p=0.000), -0.024±0.367 D(p=0.590) respectively. The asphericity(Q-value) of cornea increased toward negative value as it moved from apex to periphery. The change of corneal asphericity was 0.005±0.092 in 10° radius, 0.003±0.076 in 20° radius and -0.012±0.063 in 30° radius, but the differences were all no significance. Asphericity were not correlated to spherical equivalent and axial length. In the myopic group, asphericity and corneal apical radius showed a low correlation(1st : r=-0.399, p=0.014, 2nd : r=-0.361, p=0.028) and the change of two ocular components showed a low correlation(r=0.410, p=0.012). Asphericity and corneal astigmatis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1st : r=0.354, p=0.032, 2nd : r=0.427, p=0.008), but the change of two ocular component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r=-0.012, p=0.945). While asphericity were not correlated to ocular componets in the nonmyopic grou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ully understand the correlation corneal asphericity with the ocular components in young students during growing period on the myopic group and to apply this information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contact lenses.

저자
  • 장봉순((주)시리스케이 임상연구센터) | Bong-Soon Chang
  • 김정미(시바비전 코리아) | Jeong-Mi Kim
  • 엄창득(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Chang-Deuk Eom
  • 마기중(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